지이코노미 이창희 기자 | 경기도교육청이 13일 '경기미래교육 학교 중심 정책'을 발표했다. 학교 밀착형 정책 수립과 체계적 지원으로 학교의 자율적 변화를 촉진하고 경기미래교육을 구현하겠다는 취지다.
도교육청은 올해 초 학생의 아름다운 미래를 준비하는 '미래교육청'으로 변화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와 함께 학교 중심 정책 구현을 위한 '미래교육지원청' 시범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의지를 경기미래교육 학교 중심 정책으로 구현하고 교육지원청과 직속기관에 안내했다.
이와 함께 정책의 전략적 추진 체계를 학교 레버리지(leverage)로 명명해 ▲미래장학 ▲학교평가 ▲학교교육 소통 ▲경기미래교육의 학교 등 네 가지로 구성했다.
학교 레버리지 1(미래장학)은 학교와 함께 하는 장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전개해 경기미래교육의 중심인 학교의 역할을 강화하는 새로운 학교 지원 전략이다.
학교 레버리지 2(학교평가)는 학교교육활동의 계획-실천-평가-환류의 선순환을 도모하고 내실 있는 학교자율운영을 지원한다.
학교 레버리지 3(학교교육 소통)은 경기미래교육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고 함께 나아갈 길을 찾아가는 경기미래교육 실행의 밑거름이다.
학교 레버리지 4(경기미래교육의 학교)는 학교자율운영을 통해 학생의 삶과 연결된 배움, 확장된 학습생태계,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구현할 방침이다.
도교육청은 이와 같은 학교 레버리지의 변화를 통해 학교의 역할, 문화, 교수학습 등을 개선하는 경기미래교육의 새로운 학교 모델로 경기미래교육 중심학교를 운영할 수 있도록 힘쓸 계획이다.
또한 경기교육정책의 중심을 학교교육 방향으로 이동해 학교의 자율적 운영을 지원하고, 인성과 역량을 중심으로 학습 경험과 교육의 가치를 확대하는 학교 모델을 현장에 안착시키도록 세심히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