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조직 해체 위기를 가까스로 벗어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금융소비자 보호를 중심으로 쇄신을 선언했다. 정치권과 시장에서 제기된 금융감독기구 개편 필요성의 압박이 여전히 남아 있는 가운데, 내부에서도 변화 필요성이 커진 것이다.

금융당국의 쇄신은 ‘소비자보호 강화’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억원 금융위원장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29일 회동에서 “금융위와 금감원이 국민의 눈높이에 부합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겸허히 수용한다”며 “금융소비자 보호 기능의 공공성과 투명성 강화를 위해 뼈를 깎는 자성으로 금융행정과 감독 전반을 쇄신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의 쇄신 방향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조직과 기능, 인력, 업무 개편을 통해 제도적 소비자보호 기능을 강화한다. 둘째, 생산적 금융과 소비자 중심 금융, 신뢰 금융을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을 혁신한다. 셋째, 조직의 공공성과 투명성 개선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한다.
금융위원회 간부회의에서 이 위원장은 “국민과 시장의 시선은 여전히 엄중하다”며 “조직개편 과정에서 제기된 금융행정 문제를 깊이 새기고, 국민 신뢰를 얻을 마지막 기회라는 비상한 각오로 쇄신에 전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금소원 분리 논의가 있었던 상황에서 조직 강화에 나섰다. 금융소비자보호처를 소비자보호 총괄본부로 확대하고, 원장 직속 금융소비자보호위원회를 신설한다. 기존 태스크포스(TF)도 금융소비자보호기획단으로 확대해 소비자보호 과제를 체계적으로 발굴한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금융시장 안정과 건전성 위주 관행, 업권별 칸막이 운영 등으로 소비자보호를 종합적·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데 미흡했다”며 “관행적 업무 프로세스와 조직문화를 과감히 혁신해 금융감독의 최종 목표를 소비자보호로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