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졸피뎀을 비롯한 마약류 의약품을 둘러싼 ‘의료 쇼핑’ 실태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단기간 내 여러 병원을 돌며 처방을 반복하는 행태가 좀처럼 사라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전진숙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을)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주요 마약류 성분 3종(졸피뎀·메틸페니데이트·펜터민 등)을 처방받은 상위 20명의 처방량은 모두 수천 정에 달했다. 이들은 대부분 복수의 의료기관을 이용했고, 일부는 수십 곳을 전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졸피뎀의 경우 상황이 가장 심각했다. 상위 20명 중 한 명은 무려 56개 병원을 오가며 9,300여 정을 처방받았다. 열 곳 이상을 방문한 환자도 5명에 달했다. 졸피뎀은 수면유도 효과가 크지만 의존성과 부작용이 높아, 과다 복용 시 환각이나 기억상실, 심한 경우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 의원은 “졸피뎀, 식욕억제제, ADHD 치료제 등은 중독성이 강한 약물인 만큼 반복 처방이 치료 목적을 넘어선 것은 아닌지 철저히 살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 6월부터 의료기관의 처방시스템과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이 연계될 수 있게 된 만큼, 이 제도가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앞서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을 개정해 의료기관과 약국이 사용하는 처방 소프트웨어를 통합관리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했다. 이어 “제도의 취지가 현장에서 실효성을 가지려면 시스템 점검과 교육, 기술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며 “마약류 오·남용을 막기 위한 관리망이 촘촘히 작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의료쇼핑 방지를 위한 시스템이 도입됐지만, 일부 환자가 이를 회피하는 구조적 허점을 여전히 노리고 있다”며 “제도 개선과 병원 간 정보 공유 체계 강화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