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가 또 한 번 전국에 ‘안전 도시’ 이름을 새겼다.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2025년 집중안전점검’ 평가에서 3년 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점검 결과 이상의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61일 동안 도시 곳곳을 누비며 위험 요소를 찾아낸 과정이 고스란히 반영된 성과이기 때문이다.
올해 점검은 4월 14일부터 6월 13일까지 이어졌다. 광주시는 자치구와 공사·공단, 민간 전문가, 시민단체까지 포함한 민관합동팀을 꾸려 노후·위험 기반시설 498개소를 하나씩 확인했다. ‘종이 점검표’가 아니라, 실제로 시설에 손을 얹고 보고, 듣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점이 눈에 띈다.
강기정 시장도 주요 점검 현장을 직접 찾았다. 노후 시설의 균열, 배수 상태, 주변 접근성까지 현장에서 꼼꼼히 확인하며 관계자들과 개선 방향을 논의하는 모습이 이어졌다. 시민참여 캠페인에도 함께하며 안전행정의 무게를 더했다. 덕분에 ‘현장 참여도’ 지표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후문도 나온다.
점검이 끝난 뒤에는 후속조치가 이어졌다. 시는 발견된 문제들을 부서별로 빠르게 조치하고, 보고 체계를 다시 정리해 점검에서 조치까지의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관리했다. 말 그대로 “점검으로 시작해 조치로 끝나는” 구조가 자리 잡은 셈이다.
집중안전점검은 2015년부터 전국 지자체가 동시에 진행하는 범국가적 재난예방 정책이다. 광주시는 내년 점검 역시 서두르는 분위기다. 주민신청제와 설문조사 폭을 넓히고, 민관합동 점검팀도 더 촘촘히 구성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점검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김준영 시민안전실장은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점검 체계가 전국에서도 인정받았다”며, 앞으로도 위험 요소를 더 빨리 찾고 더 정확하게 조치하는 흐름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전했다.
광주시는 3년 연속 우수기관 선정이라는 성과보다, 61일 동안 현장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바로 고쳐 나간 전 과정이 인정받았다는 데 더 큰 의미를 두고 있다. 꾸준한 점검과 조치가 이어진 만큼, 이번 평가는 광주의 안전행정이 한층 성숙해졌음을 보여주는 흐름으로 자리하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