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히트 펌프가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정책 국정과제로 최근 선정됐다. 이는 히트펌프를 단순한 보조기기가 아니라, 에너지 전환과 산업 생태계를 함께 구축하는 전략적 핵심 기술로 본다는 의미다.
정부는 현재 친환경에너지보급사업, 에너지 효율 향상 지원사업 등을 통해 히트펌프 설치비 일부를 지원하고 있으나, 보급 성과는 미미한 상황이다.
국정기획위원회는 국정과제에 히트펌프 보급 확대와 재생에너지 연계 방안을 포함시켰다.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활용해 히트펌프를 작동시켜 무탄소 냉난방을 구현하고, 가정·상업시설·공공기관 등 특성별로 맞춤형 보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개발(R&D)과 지원 정책도 추진할 방침이다.
히트펌프 종류.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열에너지 기반 탄소감축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이에 따라 향후 신설될 기후에너지환경부의 핵심 정책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히트펌프를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명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문가들과 히트펌프의 에너지 효율성, 화석연료를 대체했을 때의 감축 효과 등을 분석하고 있다”며 “감축 수단으로 채택되면 보급 계획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히트펌프는 전기를 사용해 외부의 열을 끌어 올려 난방, 급탕, 냉방을 구현하는 장치다. 보일러가 1의 에너지로 1의 열만 얻는다면, 히트펌프는 투입 대비 3~5배의 열을 생산한다. 적은 에너 지로 더 큰 효과를 내는 고효율 기술인 셈이다. 여기에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결합하면 화석연료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유럽연합은 이미 히트펌프를 탄소중립 전략의 핵심 축으로 삼았으며, 미국과 일본도 세제 혜택과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