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3,310대로 사상 최고치 마감. 사진: 연합뉴스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코스피가 10일 54.48포인트(1.67%) 오른 3,314.53으로 장을 종료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12.15포인트(0.37%) 오른 3,272.20으로 출발해 장초반 올해 7월 31일 기록한 연고점(3,288.26)을 뚫어냈다.
이후 3,300선을 넘어 거듭 역사상 최고점 돌파를 시도하다 결국 오후 2시 23분께 3,317.77까지 치솟으면서 4년여만에 사상 최고 기록(3,316.08, 2021년 6월 25일)을 갈아치우는 쾌거를 이뤘다. 종가로도 기존 최고치(3,305.21, 2021년 7월 6일)를 깼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조3,811억 원과 9,029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특히 외국인은 코스피200 선물시장에서도 4,985억 원 매수 우위를 기록했다.
개인이 2조2,545억 원을 순매도하며 차익실현에 나섰지만,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세가 잦아들지 않으면서 지수는 등락을 거듭하며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1.3원 내린 1,386.6원으로 집계됐다.
간밤 뉴욕 증시는 미국 고용지표 부진에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부각되면서 3대 지수가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6.39포인트(0.43%) 오른 45,711.34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는 각각 17.46포인트(0.27%)와 80.79포인트(0.37%) 올랐다.
국내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예정된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주식 양도소득세를 내는 대주주 기준을 기존에 예고한 대로 강화할지 여부에 대한 정부의 최종 입장을 밝히기로 하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자극됐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인 대주주 기준을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강화하는 세제개편안을 내놓았으나, 이후 여론이 악화하고 코스피가 박스권에 갇히자 여당은 현행(50억 원) 유지 입장을 정부에 전달한 상황이다.
이미 정치권 일각에선 정부가 여당의 의견을 수용해 50억 원 현행 유지로 가닥을 잡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런 가운데 삼성전자는 이날 1,100원(1.54%) 오른 7만2,600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SK하이닉스[000660]는 1만6,000원(5.56%) 급등한 30만4,000원에 장을 마치면서 직전 연고점(7월11일 30만6,500원)에 근접했다.
K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2.33%), 현대차[005380](0.68%), 기아[000270])0.47%), 두산에너빌리티[034020](0.64%), 셀트리온[068270](0.12%), NAVER(1.08%) 등 다른 시가총액 상위주도 대부분 상승했다.
특히 새 정부의 자본시장 개혁 정책 수혜주로 분류되는 KB금융[105560](7.01%)과 신한지주[055550](3.37%) 등의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이 대통령이 직접 대주주 양도세 기준의 현행(50억 원) 유지 기조로 최종 입장을 밝힐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밸류업 정책 기대주인 금융/지주 업종 전반이 전날에 이어 강세를 이어가는 모양새였다.
업종별로는 증권(3.59%), 금융(2.83%), 건설(2.74%), 전기·전자(2.37%), 비금속(2.07%) 등이 상대적으로 많이 올랐고, 제약(-0.24%), 섬유·의류(-0.18%), 화학(-0.16%) 등은 내렸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8.18포인트(0.99%) 오른 833.00으로 이날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3.58포인트(0.43%) 오른 828.40으로 개장한 뒤 한동안 횡보하다 오후 늦게부터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94억 원과 628억 원을 순매수했고, 개인은 1,332억 원을 순매도했다.
시총 상위주는 등락이 엇갈렸다. 알테오젠[196170](1.99%),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3.41%), 삼천당제약[000250](5.69%), HLB[028300](1.71%) 등이 올랐고, 에코프로비엠[247540](-1.78%), 파마리서치[214450](-4.61%), 코오롱티슈진[950160](-5.37%) 등은 내렸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3조6,777억 원과 7조6,184억 원으로 집계됐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의 프리마켓과 메인마켓 거래대금은 6조8,382억 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