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양항 배후단지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난 금속성 폐기물 화재가 지역 안전 문제로 떠오르면서, 광양시의회가 정부와 관계기관에 보다 강한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시의회는 24일 열린 제343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성명서를 발표하며 “광양항 배후단지의 폐기물 관리 부실은 단순한 행정 문제를 넘어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수준”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9월 발생한 대형 화재는 10일 동안 연소가 이어지며 광양시 전역에 불쾌한 냄새와 연기가 퍼졌다. 추석 연휴에도 같은 장소에서 자연발화 조짐이 다시 나타나 소방당국이 급히 대응하는 상황이 반복됐다. 현장에서는 알루미늄 금속성 폐기물이 연소하며 열을 축적했고, 그 잔여물과 함께 추가 발화 위험이 계속 남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시의회가 문제 삼는 지점은 화재 자체보다 훨씬 깊다. 배후단지 곳곳에는 1만 톤이 넘는 금속성 폐기물이 장기간 야적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750kg 톤백 300여 개가 도로변에 무더기로 쌓여 있는 모습은 “언제든 사고가 다시 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일부 톤백은 훼손된 채 방치돼 있어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상황도 확인됐다. 물류창고 내부에도 다량의 폐기물이 적재돼 있어 내부 발화 가능성 역시 여전히 존재한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관계기관 간 책임 공방이 길어지며 안전 조치가 지연된 점도 도마 위에 올랐다. 여수지방해양수산청,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여수광양항만공사 등은 각각 관리 주체가 아니라는 입장을 내세우며 문제 해결이 뒤로 밀려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시의회는 “이 문제는 특정 기관의 단독 조치로 해결될 수 없는 구조”라며 “정부가 직접 나서 관리체계를 정비하고 폐기물 전수조사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명서에는 △정부 차원의 화재 경위 조사 △배후단지 폐기물 보관·처리 실태 전면 조사 △위험 폐기물에 대한 즉각적 조치 등 구체적인 요구 사항이 담겼다. 특히 ‘위험 폐기물의 신속한 수거와 처리’가 가장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시의회 안팎에서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
광양시의회는 “광양항은 국가 물류 거점이자 기업 활동의 중심지”라며 “이 지역의 안전 문제는 단순한 지역 현안이 아니라 국가적 과제”라고 짚었다. 이어 “관계기관이 더 늦기 전에 실질적인 개선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며 재차 강력한 대응을 요청했다.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화재가 날 때마다 연기와 냄새로 일상이 흔들린다”, “누가 제대로 관리하는지조차 알 수 없다”는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폐기물 적치 규모가 워낙 크고 방치 기간도 길어, 전수조사와 처리 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예상되는 만큼, 지금이라도 정부 차원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광양항 배후단지의 폐기물 문제는 단지 한 번의 사고로 끝나는 이슈가 아니다. 안전, 관리 체계, 책임 구조, 지역 신뢰 등 복합적인 문제들이 얽혀 있어, 이번 시의회의 촉구가 향후 어떤 변화로 이어질지 지역사회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