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중국 정부가 미국의 수출 승인으로 다시 판매된 엔비디아의 AI 칩 H20에 대해 ‘보안 위협’을 공식 문제 삼았다. 양국 간 AI 패권 경쟁과 반도체 공급을 둘러싼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은 엔비디아 측을 소환해 H20 칩의 백도어 가능성과 보안 취약점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다고 31일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CAC는 엔비디아에 “보안 리스크 및 이를 뒷받침할 기술 자료를 제출하라”고 공식 요청한 상태다. 이는 미국 정치권에서 AI 칩에 대한 위치 추적 및 보안 장치 의무화를 담은 '칩보안법'이 발의된 상황과도 맞물려 있다.
엔비디아는 “백도어를 심은 적이 없다”며 강하게 반박했다. 젠슨 황 CEO는 베이징 방문 중 “비즈니스적으로도 불가능한 일”이라며 의혹을 부인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 4월 수출 규제를 강화해 H20 칩의 중국 출하를 중단시켰지만, 최근 이를 일부 허용하면서 엔비디아는 판매 재개를 발표했다. 하지만 이번 보안 논란으로 인해 중국 내 수요 확대를 기대했던 H20 판매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로 엔비디아는 재개 직후 TSMC에 30만 개 추가 생산을 주문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중국 정부의 자국 반도체 산업 보호 및 국산화 전략과 맞닿아 있으며, 미중 무역 협상 국면에서 중국의 협상력을 강화하는 ‘카드’로도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
논란은 양국 협상단이 스웨덴에서 관세 유예를 90일 연장하기로 잠정 합의한 직후 터졌다. 중국 정부가 기술패권을 둘러싼 미국의 허점을 정면으로 파고든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