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정비사업 공사비를 둘러싼 시공사와 조합의 갈등이 심화하면서 공사비 검증 건수가 급증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만 30건의 공사비 검증이 완료돼, 지난해 전체(36건)의 83%를 넘어섰다. 불과 5년 전만 해도 연간 3건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와 올해 모두 30건을 훌쩍 넘어서며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다.

공사비 분쟁이 늘어난 배경에는 치솟은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가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6월 건설공사비지수는 131.07로, 5년 전 대비 30% 이상 상승했다. 시공사들은 "손해를 보고 공사를 진행할 수 없다"며 증액을 요구하고, 조합은 "산출 근거가 불투명하다"며 맞서는 상황이다. 일부 현장에서는 소송전으로까지 비화하고 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업황이 워낙 좋지 않다 보니 차라리 검증을 받아 확정하는 게 낫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여기에 정부의 산업재해 근절 기조가 더해지면서 공사 현장의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 DL건설 등은 안전사고 발생 이후 전국 현장을 전면 중단하기도 했다. 공정 지연은 곧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서초구 ‘오티에르 반포’, 강동구 ‘더샵 센트럴 시티’ 등 대형 정비사업장도 영향을 받고 있으며, 조합원과 입주 예정자들은 분담금 증가와 준공 지연을 우려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안전사고 자체도 큰 문제지만, 공사 지연과 추가 비용 등 부차적인 피해도 막대하다”며 “공사비로 인한 갈등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현장 관리에 더욱 만전을 기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