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 KT가 통신 본업의 투자를 줄이고 자회사 중심의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실적에서는 부동산 분양 효과와 함께 클라우드·데이터센터 등 신사업 투자 성과가 두드러졌다.

KT의 상반기 연결 기준 자산총계는 42조1933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소폭 증가한 반면, 부채는 23조3162억원으로 2.37% 감소했다. 별도 기준으로는 본사 자산이 29조0087억원으로 줄었고 부채도 6.24% 축소됐다. 본사보다는 그룹사 자산 확충이 뚜렷하게 진행된 셈이다.
설비투자(CAPEX) 흐름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KT 본사의 상반기 투자 규모는 845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줄어든 반면, 그룹사 투자액은 38.6% 증가한 5185억원을 기록했다. 그룹사 자금은 금융·미디어뿐 아니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부동산 개발 등에 집중됐다.
실적 기여도에서도 그룹사가 두각을 나타냈다. 상반기 연결 영업이익은 1조7036억원으로 70.3% 급증했으며, 이 중 자회사 기여분은 8348억원으로 전년 대비 246.9% 늘었다. 특히 넥스트커넥트피에프브이가 서울 광진구 부지 개발을 통해 약 3900억원의 이익을 올리며 실적을 끌어올렸다.
개별 자회사 성과는 엇갈렸다. KT스카이라이프는 효율화로 영업이익이 570.4% 급증했고, KT알파도 79.5% 증가했다. 반면 KT나스미디어는 35.9% 줄며 부진했다.
업계는 5G 투자가 안정기에 접어든 가운데 KT가 데이터센터·콘텐츠 등 비통신 영역을 그룹사 중심으로 키워가는 전략을 본격화한 것으로 본다. 한 관계자는 “하반기 자회사 실적이 개선되면 이익 기여도가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