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목포시가 도시 곳곳의 흐름과 쓰임을 다시 손보는 ‘2030 목포 도시관리계획(재정비)’ 고시 절차에 착수했다.
도시의 뼈대라 할 수 있는 용도지역·용도지구·도시계획시설을 한꺼번에 다듬는 작업이어서, 향후 목포의 도시 풍경에 적잖은 변화가 스며들 것으로 보인다.
이번 재정비안은 전남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 단계에 올랐다. 선을 다시 긋는 수준을 넘어, 지금의 생활권 변화와 도시 성장 흐름에 맞춰 공간 구조를 “정돈하고”, 장기적으로는 도시 경쟁력을 끌어올리려는 의도가 읽힌다.
무엇보다 용도지역 조정이 눈길을 끈다. 성자동마을 등 11개소가 대상인데, 지역마다 토지가 가진 성격과 활용도, 그리고 주민 이동 패턴 변화 등을 고려해 재설계가 진행된다. 주거·상업·녹지 기능 간 균형을 조정해, 땅의 쓰임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이어 용도지구는 13개소가 손질된다. 조선내화 일대 고도지구 2곳은 주변 경관, 산업활동과의 조화 측면에서 변경되고, 자연취락지구는 5곳이 새로 지정되고 6곳이 조정된다.
오래된 마을의 생활 터전이 도시계획의 틀 안에서 정식 반영되며, 정주 환경 개선과 기반시설 보완의 길도 함께 열릴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사람이 먼저 사는 공간”을 행정이 뒤따라 체계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도시계획시설도 11곳이 바뀐다. 삼학도 근린공원(한국섬진흥원) 부지는 방문 동선과 공간 활용도를 고려해 일부 조정되고, 실내체육관~삼향동을 잇는 대로 1-9호선은 폭을 줄여 주변 생활권과 조화를 꾀한다.
또한 옥암교차로 구간 대로 1-3호선은 선형 변경으로 교통 흐름을 한결 부드럽게 다듬는다. 이 같은 조치는 향후 보행 환경, 차량 흐름, 주변 상권의 숨결에도 작은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이번 재정비는 책상 위 행정 절차로만 끝나지 않는다. 11월 중 주민 의견청취 재열람이 14일간 진행돼 시민 의견을 다시 듣는다. 현장의 목소리가 도시 설계에 반영되는 절차로, 공간을 “쓰는 사람”의 경험을 담으려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이어 도지사 명의의 결정(변경) 고시가 같은 시기 진행되고, 12월 초에는 목포시가 지형도면을 고시하면서 행정 절차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도시계획은 건물 한 채를 새로 짓는 일보다 더 느리고 조용하게 스며든다. 그러나 어느 날, 익숙했던 길이 더 편안해지고, 버스 정류장 주변 풍경이 달라지고, 공원이 한층 살아난 듯 느껴지는 순간, 이러한 계획의 효과가 모습을 드러낸다. 변화는 때로는 천천히, 그러나 분명하게 다가온다.
목포시는 이번 재정비를 겉모습을 손보는 수준이 아닌, 도시의 체질을 다지고 생활의 품격을 높이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생활권에 맞는 공간계획과 세심한 도시관리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차곡차곡 마련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