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 문제가 11월 19일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날 서울에서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 강기정 광주시장, 김산 무안군수와 오찬을 겸한 협의 자리를 갖고 공항 이전과 관련한 주요 현안을 함께 논의했다.
이번 만남은 그동안 얽혀 있던 쟁점을 실마리 삼아 푸는 계기로 기록될 만하다. 김 지사는 SNS 글을 통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누면서 상당한 폭의 의견 접근이 이뤄졌다”고 밝히며, 그동안 어색했던 분위기도 “털어냈다”고 전했다.
이번 협의의 핵심은 광주시가 무안군에 제공하기로 한 1조 원 지원안이었다. 광주시의 재정 상황을 고려해 부족분을 국가사업으로 충당하는 방식이 제시되었고, 약 3000억 원 이상이 국가사업으로 반영될 가능성이 커졌다. 전남도가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국가 지원 확대’가 실제 협의 테이블에서 가시화된 셈이다.
또 하나의 주요 합의는 광주 민간공항의 조기 이전이다. 호남고속철도 2단계(목포~고막원) 완공 이후가 아닌, 그 이전에 광주 민간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하기로 뜻을 모았다. 무안공항에 KTX역이 설치되면 광주시민 이용 편익도 크게 오를 전망이다.
무안군 지원대책도 구체적으로 논의됐다.무안으로 입주 의사를 밝힌 반도체 기업이 있으나 산업단지 부지가 부족한 상황을 감안해, 대규모 국가산업단지를 신속히 조성하는 방향에 협의가 이뤄졌다.
전남도는 무안 지역이▲국제공항▲KTX▲재생에너지 기반▲용수 확보 여건 등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춘 만큼, 첨단산업 유치에 적합한 입지라고 판단하고 있다.
김 지사는 “반도체 팹까지 유치할 수 있는 조건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협의 참석자들은 세부 실무 논의를 거쳐 12월 중 6자 TF(정부·전남도·광주시·무안군·국방부·국토부)를 공식 출범시키기로 뜻을 모았다. 이로써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 논의는 본 궤도에 오르게 됐다.
김영록 지사는 SNS 메시지에서 “이번 급진전은 이재명 대통령의 강한 의지와 호남에 대한 깊은 애정이 뒷받침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가 전남도가 주장해온 획기적 지원책을 수용하면서 실타래가 풀리기 시작했다”며 “대통령의 문제 해결 방식에 새삼 감탄하게 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