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강매화 기자 ㅣ보건복지부가 1,000억 원 규모의 제5호·6호 K-바이오·백신 펀드 조성을 위해 위탁운용사(GP) 모집에 나섰다. 최근 벤처투자 시장의 위축과 앞선 펀드의 결성 지연 사례를 고려해, 투자 개시 조건을 완화하는 등 유연한 방식으로 추진된다.

복지부는 25일 “다음달 14일까지 3주간 한국벤처투자를 통해 5·6호 펀드 운용사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두 펀드는 각각 500억 원 규모로, 민간 자금 유치를 고려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목표액이 설정됐다.
K-바이오·백신 펀드는 국내 바이오·제약·백신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2023년부터 추진해온 정책 펀드다. 지금까지 △1호 펀드(유안타인베스트먼트·1,500억 원), △2호 펀드(프리미어파트너스·1,566억 원), △4호 펀드(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800억 원)가 결성을 마쳤고, 3호 펀드(데일리파트너스)는 다음달 결성이 예정돼 있다. 현재까지 누적 결성 금액은 3,866억 원이며, 약 958억 원이 제약·의료기기 기업 등 20여 곳에 투자됐다.
다만, 일부 펀드는 출자자 모집에 실패해 GP가 자격을 반납하는 사례도 있었다. , 2호 펀드의 미래에셋벤처투자 미래에셋캐피탈 컨소시엄, 3호 펀드의 LSK인베스트먼트는 각각 펀드 결성을 포기한 바 있다. 바이오 섹터의 수익성 불확실성과 글로벌 투자심리 악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복지부는 이번 공모에서는 펀드 결성 요건을 완화해 GP의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펀드별 목표액의 70%(350억 원) 이상만 조성되면 ‘우선 결성’ 방식으로 투자 활동이 가능하며, 최초 결성 기한(3개월)에 최대 3개월까지 연장이 허용된다.
복지부는 펀드 운용사들이 시장 상황에 맞춰 전략을 다변화할 수 있도록 제도적 유연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일부 운용사들은 소규모 펀드라도 딜 소싱 역량을 기반으로 적극적으로 GP 자리를 노릴 것으로 보인다.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 투자 시장 위축 우려에도 불구하고 민간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지속하겠다”며 “역량 있는 운용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