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의회 김화신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지난 23일 열린 인재평생교육진흥원 업무보고에서 성장인재 역량강화 사업의 현황과 실효성에 대해 심도 있게 점검하며, 사업 성과가 지역 산업과 실제로 연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2023년부터 2년간 9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석·박사 인재 43명을 지원했으나, 논문 5건, 특허 2건, 학술대회 발표 33건에 그친 성과는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며 “이런 성과라면 사업이 지향하는 지역 미래산업 대응과 연구인재 양성이라는 핵심 목표 달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비록 연구 주제 자체는 전남의 지역 현안이나 미래 산업과 연관되어 있지만, 정작 연구 결과가 지역 내 산업 현장에 적용되거나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구체적 전략이 부족하다”며 “이는 전남의 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아쉬운 부분이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전남도가 사업비를 지원하는 수준을 넘어, 체계적인 성과 추적과 후속 지원 시스템을 마련해 연구 성과가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범희승 인재평생교육진흥원장은 “지역 대학원생 유치 환경이 아직 열악한 상황에서 이번 사업은 서울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지역 내 인재들이 자율적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더 많은 교수가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연구 성과가 지역 산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사후 관리와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화신 의원은 전남도와 지역 대학 간의 수평적 협력 관계 구축을 주문했다. “도와 대학이 서로 협력하며, 지역에 꼭 필요한 인재가 길러지고 이들이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함께 설계해야 한다”며“전남도가 지원 기관을 넘어 대학의 연구 역량 강화와 방향 설정에 전략적으로 기여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장인재 역량강화 사업은 전남 지역의 연구 인력 유출을 막고, 지역 산업의 혁신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과제 중 하나다. 하지만 현재까지 성과는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오면서, 사업의 구조적 개선과 함께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지적을 계기로 전남도는 사업 운영 방식과 성과 관리 체계 전반을 재점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연구 결과가 지역 산업 현장에 적용되어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후속 지원책을 마련하는 데 주력할 전망이다.
지역 학계와 산업계도 전남도의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산업 현장의 요구와 연구 역량이 효과적으로 연결될 때 비로소 전남의 미래 산업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도와 대학, 그리고 산업계가 긴밀히 협력하는 거버넌스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결국, 이번 성장인재 역량강화 사업의 실효성 문제는 예산 집행의 문제를 넘어 전남 지역 연구·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더욱 무게감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김화신 의원의 제언이 구체적 정책 변화로 이어져, 전남 지역에 진정한 연구 인재가 양성되고 산업 혁신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