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복구 작업에 동원된 공무원들이 위험에 처해 있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드러났다.
전국시군구공무원노동조합연맹(이하 시군구연맹)은 25일, 수해복구 현장에 동원되는 공무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번 사고의 발단은 지난 21일, 충남 서산시청 소속 공무원 이 모 주무관이 수해복구 작업 중 뇌출혈로 사망한 사건이다.
고인은 복구 현장에서 밤낮없이 작업에 매진하고 있었으며, 식사 도중 갑작스러운 뇌출혈로 유명을 달리했다. 이 사건은 공무원들의 안전 대책 부재가 초래한 비극적인 결과를 상기시키고 있다.
시군구연맹의 공주석 위원장은 “무리한 수해복구 작업으로 누군가의 안전이 위협받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수해복구 현장에 동원되는 공무원들의 안전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공무원들이 밤낮없이 복구 작업에 매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의 과중한 노동에 대한 보상과 적절한 휴식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공 위원장은 “서산시청 고 이 모 주무관의 명복을 빌며, 고인의 헌신에 대한 적절한 예우가 필요하다”고 전하며, “정부는 수해복구 현장에 투입되는 공무원 노동자에 대한 안전 대책을 강화하고, 적절한 보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수해복구 작업은 대부분 고된 체력적 요구와 위험을 동반한다. 특히 이번 사고처럼 공무원들이 현장에서 긴급히 대처해야 할 상황이 반복되며, 이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은 극도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퇴근 없이 현장에 투입되며, 작업 환경은 예측할 수 없는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 요소가 다분하다.
시군구연맹은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 대책을 강조하면서, 공무원 노동자들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는 휴식 보장과 더불어 적절한 보상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수해복구는 공공의 안전을 지키는 중요한 일"이라며, "하지만 그것이 공무원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일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시군구연맹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수해복구 현장에서 활동하는 공무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즉각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공 위원장은 “수해복구 현장에 투입되는 공무원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작업을 마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가의 의무”라며, “수해복구 작업을 위한 무리한 동원은 더 이상 공무원들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해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