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는 지역 중심 건강돌봄 체계를 강화해 시민이 일상에서 건강을 돌볼 수 있는 기반을 넓혀가고 있다고 밝혔다.
17일 광주시에 따르면 통합건강센터, 사회적 처방 건강관리소, 공공심야어린이병원, 원스톱 응급의료플랫폼 등 공공의료 서비스가 단계적으로 확충되며 접근성과 안정성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동구·서구 통합건강센터에는 10월 말 기준 334명이 등록해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받고 있다. 이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층이 71%를 차지해, 센터가 노년층 건강관리의 실질적 거점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에서는 기초검사와 생활습관 분석을 바탕으로 통합건강평가, 치매검진, 고혈압·당뇨관리, 정신건강 상담, 영양·구강관리, 방문건강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한 공간에서 제공한다.
지난달 광산구에 문을 연 ‘사회적 처방 건강관리소 2호점’은 의료적 처방만으로 충족되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운동 프로그램, 소규모 대화 모임, 관계 형성 활동 등을 지원해 시민의 마음건강과 일상회복을 돕고 있다.
응급의료 대응 체계도 고도화되고 있다. 광주형 원스톱 응급의료플랫폼은 중증도, 병상 현황, 의료자원 등을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돼, 응급실 이송 지연을 줄이고 전원 판단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시범 운영을 마치고 조만간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공공심야어린이병원·달빛어린이병원은 올해 누적 이용자가 6만 명을 넘어서며 야간·휴일 소아 진료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하고 있다. 광주에서 처음 시작된 이 모델은 여수·군산 등 타 지역으로 확산하며 공공의료 분야의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강윤선 공공보건의료과장은 “예방부터 돌봄·응급까지 아우르는 공공의료 체계를 더 넓혀 시민이 언제든 편안하게 진료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