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박지은 기자 | 여러 사유로 인해 치아가 제 기능을 못 하게 되거나 발치, 상실하게 되면 과거에는 주로 틀니나 브릿지 같은 치료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가 대표적인 치료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더불어 임플란트가 국민건강보험 확대 적용이 된 후 수요는 점점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임플란트는 기존 자연치아와 기능은 물론 심미성까지 거의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치아의 뿌리에 해당하는 인공치근을 식립 하고 상단 치아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인공치아를 연결하여 치아를 대체하는 치료다.
임플란트 치료는 턱뼈에 인공치근을 식립하기 때문에 치아를 뺀 곳의 잇몸 뼈의 상태가 중요한데, 잇몸 뼈가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온전한 임플란트가 될 수 있도록 뼈의 형성을 유도하는 골이식(뼈이식) 재를 사용하여 잇몸 뼈를 보강한 후 시술을 받게 된다.
이식하는 뼈의 종류에는 자기의 뼈를 채취하여 이식하는 자가골, 다른 사람의 뼈를 채취하여 철저한 멸균처리 방식을 거쳐 이식하는 동종골, 사람이 아닌 동물의 뼈를 채취하여 철저한 멸균처리 방식을 거쳐 이식하는 이종골, 그리고 인공적으로 인체와 유사하게 뼈조직을 만들어 이식하는 합성골 등이 있다.
이는 각 특징과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과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환자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뼈이식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광주 이턱사랑치과 유희영 원장은 “틀니나 브릿지 등 오래 사용하였거나 치아가 빠진 후 오랫동안 방치된 경우라면 잇몸뼈의 흡수로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잇몸뼈가 부족하여 임플란트 식립만을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라며 “이렇게 잇몸뼈가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뼈이식 재료를 이식하여 뼈의 양을 늘린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뼈이식 임플란트’ 치료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유원장은 “치과 치료는 손실된 치아의 기능 회복과 환자가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라며 “단순히 임플란트 잘한다고 유명한 곳을 찾기보다는 자신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이 가능한 곳을 알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국내외 인증받은 임플란트 정품 재료만을 사용하고 인증서 발급이 가능한지, 정기적인 검진 예약을 통해 치료가 끝난 후에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해 주는 곳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