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고내구성 미래차를 위한 통합 열관리 시스템 개발기술 세미나 포스터. [자료제공=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http://www.geconomy.co.kr/data/photos/20210623/art_16231133138519_cef47e.jpg)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은 오는 7월1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파이어홀에서 '고효율 고내구성 미래차를 위한 통합 열관리 시스템 개발기술 - 배터리, 스택, 히트펌프, 공조 열관리와 소재 및 열해석 기술' 세미나를 온, 오프라인으로 병행해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기존 내연기관차에서 열관리시스템은 실내온도 유지 및 파워트레인 쿨링 등 탑승객을 위한 편의장치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전기에너지가 주 동력원이 되는 전기차, 수소차의 경우에는 엔진 없이 냉매를 활용하여 실내 공조를 해야하고 배터리 에너지 효율을 높여서 주행거리를 연장 해야 하며 전장부품의 열관리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의 효율적인 작동을 도와주는 등 열관리의 영역이 모터, 반도체, 충전까지 넓어지면서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히트펌프는 드라이브 모터, 온보드 충전기 및 인버터, 배터리 팩 등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재활용하고 폐열을 통해 실내 난방, 환기 및 공기 정화 등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배터리 부하를 줄여 저온에서의 주행거리를 극대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고속충전의 확산으로인한 배터리 쿨링과 연료전지 스택 및 냉각 시스템 성능에도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로벌 리서치회사 테크나비오에 따르면 전세계 전기차용 열관리 시스템 시장 규모는 2024년까지 148억 4000만 달러의 성장이 예측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의 중요성 및 주요 자동차 적용 현황 △수소연료전지차의 스택 및 공조 시스템의 통합열관리 기술 △미래차 통합 열관리를 위한 히트 펌프 양산화와 실내공조 기술 △친환경 미래차 (배터리/전장부품) 열관리를 위한 방열 소재개발 및 효율개선 방안 △급속 충전·고출력에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열관리와 이상감지/발열원인 분석 기술 △미래차 전장부품용 고방열 냉각해석 기술과 사례 등 미래차 열관리 시스템 전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최근 들어 다양한 열관리 소재 및 부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관련시장 규모도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라고 말했으며 "이번 세미나가 미래차를 위한 열관리 핵심기술 동향 및 상용화 방안 수립에 실제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라고 밝혔다.
컨퍼런스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조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