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라남도가 봄철 농번기를 맞아 급증하는 농촌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 봄철 농촌인력 지원 계획’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지원에 나섰다.
도는 농번기 동안 ‘농촌인력 지원 종합상황실’을 운영해 시군 및 농협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인력 수급 현황과 인건비 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시군 간 인력을 효율적으로 조정할 방침이다.
올해 봄철 약 5만 헥타르에 이르는 주요 농작물 재배지에서 총 92만5천 명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 가운데 60%에 해당하는 55만5천 명은 공공 인력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이를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고용을 전년 대비 43% 확대하고, 농촌인력중개센터 46곳을 중심으로 농작업 인력 공급에 나선다.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올해 상반기에만 19개 시군에 9천여 명이 배치되며, 근로자와 고용주를 대상으로 한 인권 보호 및 근로계약 교육도 병행된다.
도내 시군에 설치된 농촌인력중개센터는 국내 인력 중개 31곳, 공공형 계절근로 15곳 등 총 46곳으로 운영되며, 단순 인력 중개뿐 아니라 근로자 대상 농작업 교육과 현장 지원도 함께 제공한다.
특히 공공형 계절근로는 농협이 외국인 근로자를 직접 고용해 영농작업반을 구성하고, 하루 단위로 농가에 인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와 안정적인 수급 체계로 농가의 만족도가 높다.
이와 함께 도는 대학생과 청년, 기관·단체 직원 등의 농촌 일손돕기 참여를 유도하고, 도시농부 1천 명을 모집해 인력 부족 지역에 투입할 예정이다.
김현미 전남도 농업정책과장은 “농촌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매년 농번기 인력 수급이 큰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며 “올해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확대와 중개센터 운영 강화 등 입체적인 지원으로 적기 영농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