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정길종 기자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신용보증기금지부(위원장 고광욱, 이하 ‘신보 노조’)는 21일 성명서를 통해 최근 이뤄진 상임이사 2명의 선임이 밀실에서 졸속으로 강행된 ‘알박기 낙하산 인사’이며, 이사장의 측근을 보은성 인사로 임명하려는 시도 역시 “명백한 인사 농단”이라고 규정하고 전면 철회를 촉구했다.

신보 노조는 “상임이사 모집공고가 지난 5월 9일 마무리 됐는데 불과 열흘 만에 업무감독 기관인 금융위 출신 이모 수석전문관을 상임이사로 내정하는 급발진 인사 강행은 인사 검증 절차를 무시한 처사”라며, “단체협약에서 정한 노동조합과의 정보공유뿐만 아니라 조직의 미래나 구성원들의 의견은 철저히 외면당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내부출신 상임이사 내정자로 거론되는 김모 본부장은 직원들 사이에 갑질, 폭언 논란이 있었던 인물인데 내부 여론을 묵살한 채 임명을 강행하려는 시도에 대해 “이사장 개인의 임기 말 탐욕이 신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이번 인사 논란은 최근 정치권에서 제기된 ‘알박기 인사’ 문제와도 깊이 맞닿아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는 정권을 집권하게 되면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진행된 공공기관의 알박기 인사를 청산하는 데 시동을 걸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 겸 상임선대위원장 역시 19일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대통령실 출신 공무원들이 부처로 복귀하며 승진, 요직 배치가 이뤄지고 있고, 이는 사실상 보은성 알박기 인사‘라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12.3 내란 은폐 목적 알박기 인사‘의혹에 대한 특검 수사 요구와 함께, 공공기관 인사제도 전반의 정비를 본격화하고 있다.
신보 노조는 “신용보증기금은 특정 권력의 사적 욕망를 실현하는 도구가 아니며, 낙하산 인사와 보은성 인사는 어떠한 명분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노조는 “조합원들의 동의없이 강행되는 인사는 원천 무효이며, 직원들의 눈높이에서 철저한 인사 검증을 통해 동의를 얻지 못한 자는 그 누구도 절대 신보에 한 발짝도 발 디딜 수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이어 “앞으로 노동조합은 조직의 신뢰를 파괴한 대가를 반드시 치르게 할 것이며, 신보 구성원의 명예와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조합원과 연대하여 총단결로 더욱 강력한 투쟁을 전개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