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교육청과 서구청이 극우 성향 매체 ‘스카이데일리’에 광고비를 지급한 사건이 지역사회에서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단순한 행정적 실수로 보기에는 그 파장이 크다. 이번 사건은 공공기관이 정치적 중립성을 제대로 지키지 못했음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사례로, 시민들의 신뢰를 저버린 결정이었다.
두 기관은 “해당 매체의 성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고 해명했지만, 이는 공공기관으로서의 기본적인 책임을 망각한 것과 다름없다. 언론 매체와 광고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그 매체의 성격과 논란 여부를 검토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이다. 특히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거나 특정 이념을 극단적으로 강조하는 매체에 공공 예산을 집행하는 것은 단순한 실수로 치부될 수 없는 문제다.
스카이데일리는 5·18민주화운동을 왜곡하고 폄훼하는 내용을 지속적으로 보도해 논란이 되어왔으며, 지난해 5·18기념재단에 의해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고발된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주시교육청과 서구청이 이 매체에 광고비를 지급했다는 사실은 시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더욱이 이러한 논란이 광주 전역으로 확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공무원들은 이 문제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공공기관이 시민의 목소리를 얼마나 경청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예산 집행 문제가 아니다. 이는 공공기관의 정치적 중립성과 역사 인식, 행정적 책임감이 모두 시험대에 오른 사안이다. 사과는 당연한 수순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다. 공공기관이 정치적 논란이 있는 매체에 광고비를 집행하는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내부 점검과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시민들의 신뢰는 하루아침에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번 사건을 통해 공공기관이 얻어야 할 교훈은 분명하다. 공적 자금이 특정 이념을 조장하는 매체에 흘러가지 않도록 철저한 검증 시스템을 마련하고, 정책 결정 과정에서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광주처럼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지역에서는 더욱 세심한 정책적 판단이 요구된다.
더 이상 ‘몰랐다’는 해명이 통하지 않는 시대다. 시민들은 행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공공기관은 이에 부응해야 한다. 이번 사안을 계기로 단순한 실수를 넘어, 공공기관이 어떠한 기준과 원칙을 가지고 예산을 집행해야 하는지 다시 한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 공공기관이 과연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지, 이제는 그들의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