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3.8℃
  • 맑음강릉 25.8℃
  • 맑음서울 25.0℃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30.3℃
  • 맑음울산 23.7℃
  • 맑음광주 26.0℃
  • 맑음부산 24.5℃
  • 맑음고창 22.2℃
  • 맑음제주 24.5℃
  • 맑음강화 21.0℃
  • 맑음보은 23.5℃
  • 맑음금산 25.0℃
  • 맑음강진군 25.0℃
  • 맑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7.3℃
기상청 제공

고령군, '고령 봉평리 암각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지정

고령군 비지정문화재 보존관리에 노력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고령군은 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에서 비지정문화재인 '고령향교 소장 찬도호주주례 책판'과 고령군 향토문화유산 유형유산 제1호인 '고령 봉평리 암각화'를 8월 26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 690, 691호로 지정 됐고 '고령 지산리 석조여래좌상'은 도지정문화재 심의대상에 선정됐으며, '고령 본관리 고분군'은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신청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전했다.

 

고령향교 소장 '찬도호주주례' 책판은 '주례'에 그림을 첨가하여 한나라 정현이 주석을 붙인 책이다. 문화재로 지정 신청된 책판은 고령현감 구문유가 판각한 12권의 목판본인데, 경상도관찰사 김연의 발을 붙여서 간행했다. 1706년에 판각한 것을 중심으로 1893년에 일부 책판을 보각하여 간행한 것인데 총 303매 중에서 37매가 결락되어 현재 266매만 남아 있다. 내용적으로는 조선시대에 시행된 정치·행정제도의 요체를 알 수 있고,  서·발문, 편목, 본문의 상태가 온전히 갖추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판화인 주례경도 또한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어 미술 및 판화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纂圖互註周禮'의 판본은 국내에 다수 전해지고 있으나 책판 자체가 남아있는 것은 매우 희귀하며, 지방 관판으로 판각되었기에 지방 출판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라 판단되어 문화재자료로 지정 됐다.

 

고령 봉평리 암각화는 2008년에 대가야박물관에서 실시한 문화유적 지표조사 시 발견된 암각화 유적이다. 제작시기는 청동기시대 중기에서 후기 사이로 추정된다. 마제석검, 세형동검, 비파형동모 등으로 보이는 26개의 표현물이 확인되고 있으나 상당수가 발견될 당시에 이미 훼손이 심한 상태로서 보존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봉평리 암각화는 고령은 물론, 경상남북도에 산재해 있는 선사시대 다른 암각화와의 비교․연구에 중요한 자료라 판단되므로 문화재자료로 지정 됐다.

 

지난 10여년간 고령군은 14건의 비지정 문화유산을 문화재로 지정했으며, 14건을 고령군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했고, 현재 10건의 문화유산을 도지정문화재로 지정하거나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하기 위한 행정 절차를 밟고 있다. 또한 대가야박물관에 보관되고 있는 '고령 지산리 석조여래좌상'은 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에서 도지정문화재 심의대상에 선정됐고 '고령 본관리 고분군'은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신청 대상으로 선정됐다. 

 

곽용환 고령군수는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겨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을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문화재 보존 관리를 통해 지켜 나갈 수 있도록 꾸준히 비지정문화재를 발굴하여 문화재로 지정 추진하여 고령군의 문화유산 보존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