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옥태훈(27)이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제네시스 대상과 상금왕, 덕춘상(최저타수상), 톱10 피니시상, 한국골프기자단 선정 기량발전상 등 5관왕에 올랐다. 옥태훈은 12일 서울 서대문구 스위스 그랜드 호텔 서울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5개상을 휩쓸며 2025 시즌 KPGA 투어 주인공으로 우뚝 섰다. 옥태훈은 올해 제68회 KPGA 선수권, 군산CC오픈, 경북오픈에서 세 번이나 정상에 오르며 제네시스 대상과 상금 1위(10억7,727만 원)에 올랐다. 그는 제네시스 대상을 받아 보너스 상금 2억 원과 제네시스 차량을 부상으로 받았고, 2026년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제네시스 스코틀랜드오픈 출전권, PGA 투어 퀄리파잉스쿨 최종전 직행 자격, DP 월드투어 시드 1년, KPGA 투어 시드 5년 등도 확보했다. 옥태훈은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게 돼 영광"이라며 "사랑하는 어머니와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감사드린다. 올해 최고의 무대에서 같이 열심히 경기하신 선·후배 동료 선수들께도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인사했다. 제네시스 대상 포인트 2위 김백준은 2026년 제네시스 스코틀랜드오픈 출전권과 DP 월드투어 시드 1년을 받았고, 3위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대상은 유현조, 상금왕은 홍정민, 신인상은 서교림' 2025 시즌 KLPGA 투어 결과다. 31개 대회, 총상금 약 346억 원의 역대 최대 규모로 펼쳐진 2025시즌 KLPGA투어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치열한 명승부와 다채로운 기록이 탄생했던 2025시즌 KLPGA투어를 총정리한다. ■ 루키에서 대세가 된 2025시즌 위메이드 대상 유현조 2025시즌 KLPGA투어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는 단연 유현조(20,삼천리)다. 루키 시즌인 지난해에 메이저 대회 'KB금융그룹 스타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신인상을 수상한 유현조는 올 시즌에는 더 성장한 모습으로 거듭났다. KLPGA투어 역대 최초로 메이저 대회에서 루키 우승자가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으며, K-랭킹에서도 생애 첫 1위에 등극했다. 이 밖에도 준우승 3회, 3위 3회를 포함해 톱10에 19회 진입하며 2025시즌 위메이드 대상도 1개 대회를 남기고 조기 확정했다. 유현조는 전년도 신인상 수상자가 다음 해에 대상을 거머쥔 역대 일곱 번째 선수로 기록됐으며, 2021시즌 장하나(33,쓰리에이치) 이후 4년 만에 60타대 최저타수상까지 확정하며 2025시즌을 화려하게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국내경제가 침체되었지만 대중형 골프장들은 이용료(그린피+카트비)를 내리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소장 서천범)가 9일 발표한 『대중형 골프장의 이용료 현황』에 따르면, 18홀 이상 257개소의 대중형 골프장 그린피(최고가 기준)는 올해 10월 기준 주중 17만 900원으로 1년전보다 0.8%, 토요일은 21만 3,700원으로 1.3% 인하했다. 그렇지만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2020년 5월보다는 주중 30.8%, 주말 21.4% 높았는데, 금액으로는 주중 4만 200원, 주말 3만 7,700원 올랐다. 그린피는 소폭 내렸지만 골프장의 주된 수입원의 하나인 카트비는 올랐다. 팀당 카트비는 9만 7,800원으로 1년 전보다 2.3% 인상되었고 팀당 대여료가 20만 원에 달하는 리무진 카트를 도입하면서 골퍼들의 골프비용은 오히려 늘어났다. 리무진 카트를 도입한 대중형 골프장수는 2024년 5월 40개소에서 지난 10월에는 73개소로 급증했다. 국내경기 침체로 대기업들의 접대골프 수요가 크게 줄어들었고 비싼 이용료를 피해 해외 원정골프를 떠나는 골퍼들이 급증했으며, 코로나19 사태때 유입되었던 20·30대가 골프
지이코노미 방제일 기자 | LIV Golf는 2026년부터 모든 대회를 72홀(4라운드) 포맷으로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변화는 LIV Golf가 전 세계 선수와 팬들을 위한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해 추진하는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리그 발전의 다음 장을 여는 중요한 이정표다. LIV Golf는 창립 이래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 3일간 진행되는 54홀 경기 형식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2026 시즌부터는 모든 대회가 4일간(72홀) 진행되며, 대부분의 대회는 목요일 개막으로 진행될 예정이다(단, 2월 4일 개막하는 LIV Golf Riyadh presented by ROSHN은 수요일부터 시작). 리그의 핵심 정체성인 팀전과 개인전의 병행 포맷과, 세계적인 수준의 이벤트 경험은 그대로 유지된다. LIV Golf CEO 스콧 오닐(Scott O’Neil)은 “리그 4번째 시즌을 맞이하며, 72홀로의 전환은 LIV Golf의 새로운 장을 여는 중대한 결정입니다. 이는 리그를 한층 강화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선수들에게 더 큰 도전을 제공하며, 팬과 파트너, 미디어 모두에게 더 풍성한 가치를 제공합니다. 홍콩, 애들레이드, 인디애나폴리스 등에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
고지원이 우승 금메달을 목에 건 채, 우승 트로피를 들고 포즈를 취했다. 이하 사진: KLPGA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고지원(21)이 고향 제주에서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시즌 2승을 올렸다. 고지원은 2일 제주도 제주시 엘리시안 제주(파72·6,816야드)에서 열린 KLPGA 투어 '에쓰오일 챔피언십(총상금 10억 원)' 최종 4라운드에서 버디 6개와 보기 하나를 묶어 5언더파 67타를 쳤다. 고지원의 아이언 샷 최종 합계 17언더파 271타를 기록한 고지원은 2위 서교림(15언더파 273타)을 2타 차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 상금은 1억8,000만 원. 지난 8월 제주 삼다수 마스터스에서 정규 투어 첫 우승을 했던 고지원은 약 3개월 만에 우승을 추가했다. KLPGA 투어 3승을 거둔 고지우의 동생인 고지원은 2023년 KLPGA 투어에 데뷔했고, 이번 시즌 '조건부 출전권자'로 뛰다가 삼다수 마스터스 우승으로 2027시즌까지 시드를 확보한 바 있다. 첫 우승 이후에도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내던 고지원은 다시 고향인 제주에서 우승하며 시즌 2승을 거뒀다. 이번 대회 1, 2, 3위를 한 고지우(맨 뒷줄 중앙), 2위 서교림
지이코노미 방제일 기자 | 사이판 라오라오베이 골프&리조트(Laolao Bay Golf & Resort)와 로이 김 프로(Roy Kim Pro)가 공동 주최한 '제1회 사이판 국제 주니어 골프오픈(Saipan International Junior Golf Open)'이 지난 주말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대회에는 21명의 주니어 골퍼들이 참가해 열띤 경쟁을 펼쳤으며, 사이판의 차세대 골프 유망주를 발굴하는 뜻깊은 무대가 되었다. 이날 대회는 오전 6시 30분 참가 등록 및 단체사진 촬영으로 시작해, 오전 7시 30분부터 본격적인 라운드가 진행됐다. 참가자는 연령에 따라 ▲A Flight(18세 이하)와 ▲B Flight(14세 이하) 두 부문으로 나뉘어 경기에 임했다. A Flight은 1번 홀에서 출발해 18홀을 완주했고, B Flight은 10번 홀에서 출발해 9홀 경기를 치렀다. 특히 이번 대회에서는 ‘새싹 코코넛 티마커(Sprouted Coconut Tee Marker)’를 사용해 사이판의 자연과 성장의 상징을 담았다. 학부모가 캐디로 직접 동반해 경기의 속도와 안전을 함께 관리하며, 가족이 함께하는 ‘커뮤니티형 골프대회’의 의미를
지이코노미 방제일 기자 | 2025년 10월 29일, 한국미드아마추어골프연맹(KMAGF)이 2025 시즌 미드아마 랭킹 TOP10을 발표했다. KMAGF 미드아마 랭킹은 국내 아마추어 골프계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순위로, 각 대회별로 부여된 랭킹 포인트를 합산해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랭킹 1위에게는 국내 최고 권위의 대회인 ‘제45회 GS칼텍스 매경오픈 골프선수권대회’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2025 시즌 랭킹 포인트 합산 결과, 박진환이 2,302포인트로 랭킹 1위를 차지하며 2026년 ‘GS칼텍스 매경오픈’ 출전권을 거머쥐었다. 박진환은 ‘LX 제16회 KMAGF 미드아마 챔피언십’ 3위, ‘제12회 브리지스톤골프배 미드아마 최강전 2위, 특히 ‘2025 프랭크버거배 미드아마 클래식’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그의 실력을 입증했다. 신인식이 1,928포인트로 2위를 차지하였으며 강봉석이 1,547포인트로 3위, 김동섭이 1,541포인트로 4위를 기록했다. 이어서 허지백(1,472P) 5위, 정동혁(1,457P) 6위, 정환(1,395p) 7위, 문지선(1,300P) 8위, 박재순(1,227P) 9위, 이상호(1,195P) 10위의 순위에 이름을 올리며 2
(사)한국대중골프장협회 우정석(왼쪽) 회장과 (사)일본골프장경영자협회 테즈카 히로시(오른쪽) 이사장이 업무협약(MOU) 체결식에서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이하 사진: (사)한국대중골프장협회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사)한국대중골프장협회(회장 우정석)는 29일 도쿄에서 일본의 (사)골프장경영자협회(이사장 테즈카 히로시)와 양국의 골프장산업에 관한 정보 공유 및 지속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일본 골프장경영자협회는 1969년 일본 정부의 인가를 받아 설립된 공식 단체로 골프장 경영기업의 건전한 발전과 골프의 보급을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244개의 회원사 골프장을 가진 단체이다. 일본 골프장경영자협회의 주요 활동으로는 ▲경영 효율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기술의 보급, 각종 데이터의 수집 및 회원 골프장의 정보 제공 ▲저출산·초고령 사회로 인한 노동 인구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고용 대책 추진과 직원 교육 강화 ▲녹지 시설로서의 지구온난화 대응, 생물다양성 보전 등 환경 개선, 그리고 지역 경제 및 사회에 대한 공헌 활동 ▲정부 및 행정 기관에 대해 골프장 산업의 발전을 위한 세제 개선, 고용 환경 정비, 각종 지원 제도 마
지이코노미 방제일 기자 | 한국에서 출발한 골프 모빌리티 혁신이 글로벌 무대에서 새로운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다 메이트모빌리티(Mate Mobility)는 지난 10월 23일부터 26일까지 우정힐스 골프장에서 열린 DP World Tour 제네시스 챔피언십에서 경기위원 전용 카트를 공식 공급하며, 국내를 넘어 글로벌 투어 현장에서도 기술력과 브랜드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미 KPGA와 5년 전속 계약을 체결하며 국내 시장에서 안정적인 입지를 다진 메이트모빌리티의 1인승 카트 ‘싱글(SINGLE)’은 올해 LIV GOLF KOREA 2025를 비롯해 DP World Tour 제네시스 챔피언십 등 세계 주요 투어 대회에 공식 공급되며 ‘K-골프 테크’의 새 역사를 열고 있다. ‘싱글(SINGLE)’*은 단순한 1인승 카트가 아니다. 골프 코스를 위해 설계된 차세대 Golf EV(전기 모빌리티)다. ‘싱글(SINGLE)’은 경사, 잔디 상태 등 실제 코스 환경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AI 기반 주행 보정 시스템을 탑재해, 어떤 코스에서도 안정적이고 안전한 주행을 보장한다. 또한 지오펜싱(Geo-Fencing) 기술을 적용해 코스 관리 구역을 자동 인식함으로써, 안전 운
우승한 호주팀 선수들. (좌측부터) 스테파니 키리아코, 이민지, 한나 그린, 그레이스킴.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미국 여자프로골프협회(LPGA)가 주관하고 한화의 금융계열사 공동브랜드인 'LIFEPLUS(라이프플러스)’가 후원하는 세계 유일의 여자 골프 국가 대항전인 '2025 Hanwha LIFEPLUS 인터내셔널 크라운'이 호주의 우승으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대회는 지난 10월 23~26일, 나흘간 경기도 고양시 뉴코리아CC에서 열렸다. 최종 라운드에는 미국, 호주, 월드, 일본팀이 진출해 2번의 싱글 매치와 1번의 포섬 매치 플레이를 통해 승부를 가렸다. 치열한 접전 끝에 미국과 호주팀이 결승에 올랐고, 호주팀은 흔들림 없는 경기력을 선보이며 이번 대회 정상에 올랐다. 이민지가 한화생명 김동원 사장과 MVP 트로피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경기 결과 4일 중 첫 3일은 A, B조로 나눠 조별 포볼 매치플레이를 펼쳤다. 그 결과 A조에선 미국과 호주, B조에선 월드팀과 일본이 각각 조별 1,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B조에 속한 한국은 6경기에서 1승 3무 2패로 승점 2.5점으로 스웨덴과 함께 4강 진출에 실패했다. A조에선 태국과 중국이 모
호주팀 스테파니 키리아코, 이민지, 한나 그린, 그레이스킴(왼쪽부터)이 우승 트로피를 함께 들고 포즈를 취했다. 이하 사진: LPGA 제공 고양=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호주가 세계 여자 골프 국가대항전인 '한화 라이프플러스 인터내셔널 크라운(총상금 200만 달러)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MVP(최우수선수)에는 호주의 이민지가 뽑혔다. 이민지와 그레이스 김, 해나 그린, 스테파니 키리아쿠가 팀을 이룬 호주는 26일 경기도 고양의 뉴코리아CC(파72·6,542야드)에서 열린 대회 결승전에서 미국을 3대 0으로 꺾고 정상에 올랐다. 2014년 창설돼 올해 5회째인 인터내셔널 크라운은 선수 4명씩으로 구성된 8개 팀이 출전해 여자 골프 최강을 가리는 대회다. 2014년 스페인, 2016년 미국, 2018년 한국, 2023년 태국에 이어 이번엔 호주가 우승하며 5차례 대회에서 각기 다른 팀이 트로피를 가져갔다. 호주팀이 챔피언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좌측부터) LPGA 커미셔너 크레이그 케슬러(Craig Kessler) 회장, 스테파니 키리아코, 이민지, 한나 그린, 그레이스 킴, 한화생명 김동원 사장, 대회 공식 앰배서더 박세리 감독 우승한 호주는 4명
한복 두루마기를 입고 우승 트로피인 도자기를 들고 포즈를 취한 리슈잉. 이하 사진: KLPGA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리슈잉(중국)이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광남일보·해피니스오픈(총상금 10억 원)에서 우승했다. 리슈잉은 26일 전남 나주시 해피니스CC(파72·6,727야드)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3라운드에서 버디 6개와 보기 2개로 4언더파 68타를 쳤다. 최종 합계 11언더파 205타를 기록한 리슈잉은 공동 2위 선수들을 2타 차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이로써 리슈잉은 2015년 9월 한화금융 클래식에서 우승한 노무라 하루(일본) 이후 10년 만에 KLPGA 정규 투어 대회를 제패한 외국인 선수가 됐다. 중국 선수의 KLPGA 정규 투어 대회 우승은 리슈잉이 사상 최초다. 리슈잉은 KLPGA가 외국인 선수들에게 국내 투어 진입 기회를 주기 위해 준회원 선발전, 점프 투어를 전면 개방한 이후 국내 선수와 똑같은 과정을 거쳐 정규투어에 데뷔한 첫 외국인 선수다. 2023년 정규투어 신인으로 활약했고, 그동안 최고 성적은 올해 두 차례 공동 4위다. 중국 상하이 출신인 그는 중국인 아버지, 한국인(조선족)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4강 진출에 실패한 한국팀이 18번 홀 그린에서 아쉬움을 달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고진영, 유해란, 김효주, 최혜진. 이하 사진: LPGA 제공 고양=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한국팀이 '한화 라이프플러스 인터내셔널 크라운(총상금 200만 달러)' 4강 진출에 실패했다. 한국은 25일 경기도 고양시 뉴코리아CC(파72·6,542야드)에서 열린 대회 사흘째 조별리그 B조 3차전 일본과 경기에서 1무 1패에 그쳤다. 이로써 조별리그 3경기에서 1승 3무 2패, 승점 2.5를 따낸 한국은 월드팀과 일본에 밀려 조 3위가 되면서 4강에 오르지 못했다. 한국은 고진영-유해란 조가 일본의 후루에 아야카-다케다 리오 조와 비겼다. 그러나 김효주-최혜진 조가 사이고 마오-야마시타 미유 조에 마지막 18번 홀에서 져 1홀 차로 패배했다. 고진영-유해란 조는 전반 1홀 차로 계속 끌려가다 중반 이후 무승부를 이룬 후 끝까지 이를 지켜 무승부를 기록했다. 고진영(왼쪽)과 유해란이 고진영이 3번 홀에서 드라이버 티샷한 공이 날아가는 것을 쳐다보고 있다 김효주-최혜진 조는 일본팀에 전반 한때 3홀 차까지 앞서 나갔으나 중반부터 1홀 차로 격차가 줄어들다 16번 홀(파3)에서 결
고진영(오른쪽)과 유해란. 이하 사진: LPGA 제공 고양=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한화 라이프플러스 인터내셔널 크라운(총상금 200만 달러)' 이틀째 경기에서 한국팀이 월드팀을 상대로 한 포볼 매치에서 1무 1패에 그쳤다. 한국은 24일 경기도 고양시 뉴코리아 컨트리클럽(파72·6,542야드)에서 열린 대회 이틀째 조별리그 B조 2차전에서 월드팀을 상대로 1무 1패를 기록했다. 고진영-유해란 조가 월드팀의 브룩 헨더슨(캐나다)-슈웨이링(대만) 조와 비겼고, 김효주-최혜진 조는 리디아 고(뉴질랜드)-찰리 헐(잉글랜드) 조에 1홀 차로 졌다. 최혜진(왼쪽)과 김효주 이로써 한국은 2차전까지 1승 2무 1패, 승점 2를 기록해 월드팀(2승 2무·승점 3)에 이어 조 2위에 올랐다. B조는 한국과 월드팀 외에 일본, 스웨덴이 속해 있으며 25일 조별리그 3차전까지 치러 상위 2개 팀이 4강에 진출한다. 우리나라는 25일 일본과 3차전을 벌인다. 일본과 스웨덴은 나란히 1승 1무 2패, 승점 1.5를 기록 중이어서 25일 경기 결과에 따라 4강 진출 팀이 정해진다. 2014년 창설된 이 대회에서 한국은 2018년 제3회 대회 때 한 차례 우승했다. A조에서는 미
지이코노미 방제일 기자 | 한국미드아마추어골프연맹(KMAGF)이 2025 시즌 여자 미드아마 랭킹 TOP5을 발표했다. KMAGF 미드아마 랭킹은 국내 아마추어 골프계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순위로, 각 대회별로 부여된 랭킹 포인트를 합산해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2025 시즌 랭킹 포인트 합산 결과, 서선영이 418포인트로 랭킹 1위를 차지했다. 랭킹 1위 서선영은 ‘제2회 아티타야배 레이디스 미드아마 챔피언십’ 우승, ‘제4회 Volvik 레이디스 아마추어 최강전’ 2위를 기록하며 그 실력을 입증했다. 이어서 정민이가 344포인트로 2위를 기록하였고, 김선미가 319포인트로 3위, 백수연이 266포인트로 4위, 김소영이 249포인트로 5위에 이름을 올리며 2025 KMAGF 여자 미드아마 랭킹 TOP5가 확정되었다. 랭킹 1위 서선영을 비롯한 TOP5 선수들에게는 PHILIP B 프리미엄 바디세트, 트로피, TOP5를 상징하는 메달 그리고 그린자켓이 수여된다. 서선영은 랭킹 1위 소감을 전하며 “내년에는 올해보다 좀 더 열심히 하겠다.”며 “정말 영광스럽다”며 소감을 전했다. 2025 KMAGF 여자 미드아마 랭킹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미드아마추어
김효주(오른쪽)와 최혜진이 승리의 'V'자 손가락 모양을 해보이고 있다. 이하 사진: LPGA 제공 고양=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한국팀이 '한화 라이프플러스 인터내셔널 크라운(총상금 200만 달러)' 첫날 포볼 매치에서 1승 1무를 기록했다. 한국은 23일 경기도 고양시 뉴코리아 컨트리클럽(파72·6,542야드)에서 열린 대회 첫날 조별리그 B조 1차전 스웨덴과 경기에서 김효주-최혜진 조가 승리하고, 고진영-유해란 조가 비겨 승점 1.5를 거뒀다. 김효주의 멋진 아이언 샷 최혜진의 우드 샷 김효주-최혜진 조는 스웨덴의 마야 스타크-린 그랜트 조에 3홀 차 승리를 거뒀다. 스웨덴 마야 스타크의 벙커샷 스웨덴 린 그란트의 러프 샷 2번 홀(파3) 최혜진의 버디로 먼저 앞서 나간 한국은 6번 홀(파3)에서 김효주가 버디를 잡아 2홀 차로 앞섰다. 9번 홀(파4)에선 김효주와 최혜진이 모두 버디를 기록하며 더 차이를 벌였다. 후반 들어서도 줄곧 3홀 차 리드를 지킨 김효주와 최혜진은 결국 16번 홀(파3)을 마쳤을 때까지 스웨덴에 추격을 허용하지 않고 결국 3홀 차 승리를 확정했다. 고진영-유해란 조는 마들렌 삭스트럼-잉리드 린드블라드 조와 무승부를 기록하며 승
한국팀이 우승 트로피 옆에서 포즈를 취했다. 왼쪽부터 유해란, 고진영, 최혜진, 김효주 이하 사진: LPGA 제공 고양=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세계 여자골프 국가대항전인 '한화 라이프플러스 인터내셔널 크라운(총상금 200만 달러)'에 출전하는 한국 선수들이 한국에서 열리는 대회인 만큼 "핑계될 게 없다"며 우승을 해보겠다고 다짐했다. 김효주와 고진영, 최혜진, 유해란으로 구성된 한국 대표팀은 23~26일 경기도 고양시 뉴코리아 컨트리클럽(파72·6,542야드)에서 열리는 제5회 한화 라이프플러스 인터내셔널 크라운에 출전한다. 2014년 창설된 이 대회에서 우리나라는 2018년 인천에서 열린 3회 대회 이후 7년 만에 정상 탈환에 도전한다. 김효주는 22일 대회장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국에서 열리는 대회라 더 많은 분이 오셔서 응원해주실 것"이라고 기대하며 "홈 어드밴티지가 있고, 선수들 분위기도 좋기 때문에 대회가 시작하면 더 힘을 내보겠다"고 다짐했다. 김효주는 최근 2년 연속 이 코스에서 열린 레이디스 유러피언투어(LET) 대회를 제패한 바 있다. 김효주는 "지난주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대회도 국내에서 열려 2주 연속 한국에서 대회를 치
2023년 한화 라이프플러스 크라운 대회를 찾은 많은 갤러리들. 이하 사진: LPGA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2025 Hanwha LIFEPLUS 인터내셔널 크라운’이 개막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23~26일, 나흘간 경기 고양시 뉴코리아CC에서 열리는 이번 대회는 세계 여자골프 유일의 국가 대항전이다. 한국· 미국·일본·호주·태국·스웨덴·중국·월드팀 등 8개팀 32명의 세계 정상급 선수들이 출전한다. 각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팀워크와 국가의 자존심을 걸고 펼치는 경기를 통해 국내 팬들에게는 보기 드문 ‘팀 매치 플레이’의 역동성과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개막일인 23일에는 캘리그라피 작가 김소영의 라이브 퍼포먼스와 대회 공식 앰배서더 박세리 감독이 함께하는 오프닝 세리머니가 진행된다. 김소영 작가는 특유의 한국적인 붓글씨와 그림으로 7년만에 다시 국내에서 개최되는 이번 대회의 시작과 성공을 상징하는 작품을 선보인다. 1번 티잉 구역은 ‘티 바이브(Tee Vibe)’ 콘셉트로 꾸며져 현장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예정이다. 이 곳에서 그래미상을 세 차례 수상한 믹싱 엔지니어 겸 DJ 데이비드 영인 킴이 각국의 입장곡을 직접 작곡해 라이브 퍼포먼스를
▲김세영이 19일 오후 전남 해남 파인비치 골프링크스에서 열린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5 파이널 라운드에서 24언더파로 최종 우승한 뒤 우승트로피에 입맞춤하며 감격을 표현하고 있다. 영암 출신 골퍼로서 가족과 팬들 앞에서 거둔 뜻깊은 순간이다.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대회 조직위원회 제공
지이코노미 방제일 기자 | 안송이가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통산 최다 예선 통과 대기록을 세웠다. 안송이는 10월 17일 경기 양주 레이크우드CC 레이크코스(파72)에서 열린 KLPGA투어 상상인·한경 와우넷 오픈 2라운드에서 1오버파 73타를 쳤다. 이틀 합계 이븐파 144타를 적어낸 안송이는 여유롭게 커트 기준을 넘겨 통산 288번째 본선에 진출했다. 홍란(은퇴·287회)을 넘어 KLPGA투어 최다 예선 통과 신기록이다. 2010년 정규투어에 데뷔해 올해로 16년 차인 안송이는 꾸준함의 상징이다. 지난해 11월 에쓰오일 챔피언십에서 최다 출전 신기록(360회)을 달성한 뒤 매 대회 자신의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이번 대회가 385번째로 내년 400개 대회 출전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서른다섯의 안송이는 KLPGA투어를 뛰고 있는 선수 중 안선주(38)에 이어 두 번째로 나이가 많다. 그런데도 올 시즌 3위 두 번을 포함해 톱10 4회 입상 등 꾸준히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올 시즌 상금랭킹도 29위(3억489만원)다. 안송이는 꾸준함의 비결에 대해 “기록이 있기 때문에 저의 자전거 페달을 밟아 나가는 것 같다”며 “영광스러운 기록 하나하나가
지이코노미 방제일 기자 | 이율린이 무려 연장 5차전까지 가는 기나긴 승부 끝에 생애 첫 승을 거뒀다. 이율린은 19일 경기도 양주의 레이크우드CC(파72·6605야드)에서 열린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상상인·한경 와우넷오픈(총상금 12억원) 최종 4라운드에서 보기 4개에 버디 5개를 묶어 1언더파 71타를 쳤다. 최종 합계 12언더파 276타를 기록한 이율린은 박지영(29·한국토지신탁)과 동타를 이룬 뒤 이어진 연장 5번째 홀에서 천금같은 버디를 잡아 우승 상금 2억1600만원을 획득했다. 2023년 정규투어 데뷔 이후 지난해 10월 덕신EPC·서울경제 레이디스 클래식 준우승이 최고 성적이던 이율린은 81번째 출전 대회에서 첫 우승을 달성했다. 이 대회 전까지 시즌 상금랭킹 74위에 머물러 시드전에 내몰릴 위기였던 그는 우승으로 단숨에 2027시즌까지 시드를 확보하며 걱정을 덜었다. 1타 차 단독 선두로 최종 라운드에 들어간 이율린은 전반에 타수를 줄이지 못해 선두에서 밀려났다. 11번 홀(파4) 버디로 공동 선두로 올라섰지만 13번 홀(파4)과 15번 홀(파5)에서 보기로 다시 순위가 내려갔다. 챔피언조보다 4조 앞서서 경기를 펼치던 박지영이 보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김세영이 돌아왔다. 그것도 가장 ‘김세영다운’ 방식으로. 빨간 바지를 입고, 단 하루도 선두를 내주지 않은 채,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정상을 다시 밟았다. 19일 전남 해남군 파인비치 골프링크스(파72·6,785야드)에서 열린 최종 라운드에서 김세영은 버디 6개와 보기 1개를 묶어 5언더파 67타를 기록하며 최종 합계 24언더파 264타(62-66-69-67)로 우승을 확정했다. 2위 하타오카 나사(일본·20언더파 268타)를 4타 차로 따돌린 완벽한 승리였다. BMW 레이디스는 국내 유일의 LPGA 정규 투어 대회다. 올해 대회는 특히 해남 파인비치에서 처음 열렸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바다와 맞닿은 코스 특성상 변덕스러운 해풍이 변수였지만, 김세영은 1라운드부터 62타를 때리며 대회를 사실상 장악했다. 4라운드 내내 단 한 번도 선두를 내주지 않은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은 ‘극강의 집중력’이 아니고서는 설명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이번 우승은 2020년 KPMG 위민스 PGA 챔피언십, 펠리칸 위민스 챔피언십 이후 5년 만의 우승이자 통산 13승째다. 34만5천달러(약 4억9천200만원)의 우승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5년. 김세영의 이름이 우승 세리머니와 함께 불리지 않은 시간이다. 수차례 우승 기회를 잡았지만 끝을 매듭짓지 못한 시간이 이어졌고, LPGA 판도는 세대가 바뀌며 ‘김세영의 시대는 끝났나’라는 질문까지 따라붙었다. 그러나 자신에 대한 확신만큼은 내려놓지 않았다. 그 믿음에 대한 대답은 고향 대한민국, 그것도 전남 해남에서 드러났다. 김세영은 2025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에서 대회 내내 단 한 번도 선두를 내주지 않는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으로 LPGA 통산 13승째를 기록했다. 3번홀 보기에 잠시 1타 차로 쫓겼던 순간이 있었지만, 곧바로 5·6·7번홀 3연속 버디를 꽂아 넣으며 “흔들림이 아니라 시동”임을 선언했다. 백9에서는 14번과 15번홀 버디로 다시 승부를 닫았고, 최종 합계 24언더파(264타) 대회 최저타 기록과 함께 해남을 환호로 뒤흔들었다. 팬들이 기다린 것도 ‘우승’만이 아니었다. 김세영다운 우승이었다. 매 라운드마다 새로 그리는 그림처럼 즉흥적이고, 흐름이 오면 질주를 시작하는 본능적 골프. 김세영은 “해법을 하나로 고집하던 과거를 버리고, 이번 시즌부터 다시 즉흥성에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이 말은 이번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남 해남이 골프 열기로 뜨겁게 달아오른 가운데, 한국 여자골프 간판스타 김세영(31·메디힐)이 고향에서 다시 한 번 우승 감각을 되살리며 통산 13승에 도전하고 있다. 김세영은 18일 해남군 화원면 파인비치 골프링크스(파72·6785야드)에서 열린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3라운드에서 이글 1개, 버디 5개, 보기 4개를 묶어 3언더파 69타를 기록했다. 사흘 합계 19언더파 197타로 리더보드 가장 위에 이름을 올리며 단독 선두를 지켰다. 공동 2위 노예림(미국), 하타오카 나사(일본·이상 15언더파 201타)와는 4타 차. 남은 마지막 라운드에서도 흔들림 없는 플레이를 이어간다면, 김세영은 지난 2020년 11월 펠리컨 챔피언십 우승 이후 4년 만에 LPGA 정상에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 이날 경기장은 시시각각 방향을 바꾸는 강풍이 선수들을 괴롭혔다. 하지만 김세영은 노련한 경기 운영으로 위기를 기회로 바꿨다. 바람에 대해 김세영은 “바람이 불수록 더 전략적으로 플레이해야 하는데, 예전엔 바람에 휘둘리는 플레이가 많았다면 지금은 어느 정도 바람을 예측하고 활용하는 법을 터득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파5 홀에서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남 해남의 푸른 바람이 두 골퍼의 집중력을 시험했다.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총상금 230만 달러) 2라운드에서 김세영(한국)이 16언더파 128타(62·66)로 단독 선두를 지켰지만, 브룩 매튜스(미국)가 15언더파 129타(65·64)를 기록하며 단 1타 차로 턱밑까지 추격했다. 바람이 강하게 몰아친 해남 파인비치 골프링크스. 하지만 두 선수는 흔들림이 없었다. 김세영은 버디 7개, 보기 1개로 6언더파를 기록하며 대회 36홀 최소타 타이기록을 세웠고, 브룩 매튜스는 보기 없는 8개의 버디 쇼로 자신의 투어 최고 36홀 성적을 새로 썼다. 김세영은 페어웨이 14개 중 11개, 그린 18개 중 15개를 정확히 적중시키며 냉철한 플레이를 펼쳤고, 매튜스는 잔잔한 미소 뒤에 숨은 강한 집중력으로 한 샷 한 샷을 완벽하게 그려냈다. 두 선수의 경기 스타일은 달랐지만, 바람을 이겨낸 냉정함은 닮아 있었다. 관람석에서는 “바람도 두 선수를 막지 못한다”는 감탄이 이어졌고, 코스 위 공기는 긴장과 흥분으로 가득 찼다. 주말 라운드에서는 김세영의 리드가 이어질지, 매튜스가 반전의 주인공이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세영이 17일 전남 해남군 파인비치 골프링크스에서 열린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라운드에서 티샷을 하고 있다.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대회 조직위원회 제공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김세영이 해남에서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해남 파인비치 골프링크스에서 열리고 있는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라운드에서 김세영은 버디 7개, 보기 1개를 엮어 6언더파 66타를 기록하며 중간합계 16언더파 128타로 단독 선두에 올랐다. 2위 브룩 매슈스를 1타 차로 따돌린 짜릿한 역전이다. 날씨는 흐렸지만, 김세영의 샷은 전혀 흐트러짐이 없었다. 특히 파5 홀에서의 강한 공략이 승부를 가른 포인트였다. 네 개의 파5 홀 중 세 곳에서 버디를 잡아내며 리듬을 완전히 장악한 김세영은 “거리와 그린 컨디션이 잘 맞았고, 버디 찬스를 거의 다 살릴 수 있었다”고 말했다. 관심을 끈 건 김효주와의 이틀 연속 동반 플레이였다. “효주를 피하려고 도망 다닌 건 아니에요. 어디를 가도 효주는 있더라고요.” 웃음을 터뜨린 김세영은 “효주는 워낙 말도 많고 에너지가 넘치는 스타일이라 분위기가 편안해진다. 오늘은 제가 먼저 리듬을 잡아가려 했고, 효주도 잘 맞춰줘서 호흡이 정말 좋았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일본 선수들의 활약도 두드러진다. 이에 대해 김세영은 “요즘 일본 선수들은 꾸준히 상위권에 올라온다. 실력도 좋지만 무엇보다 팀처럼 응집력이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2025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첫날, 해남 하늘 아래서 한국 선수들이 눈부신 플레이를 펼쳤다. 고향의 응원을 등에 업은 김세영이 10언더파 62타를 몰아치며 단독 선두에 올랐고, 김효주가 한 타 차로 뒤를 이어 치열한 경쟁 구도를 예고했다. 이날 경기는 해남 파인비치 골프링크스(파72·6,612야드)에서 아침 한때 코스 정비로 1시간가량 지연된 뒤 진행됐다. 흐린 하늘이 걷히며 햇살이 비추자 선수들의 샷 감도 한층 살아났다. 김세영은 보기 없는 완벽한 라운드로 대회 18홀 최저타 타이기록(62타)을 세웠다. 1번홀과 18번홀에서 버디를 잡으며 깔끔하게 시작과 마무리를 지었고, 특히 6번홀 이글을 비롯해 6~9번홀에서만 5타를 줄이는 폭발적인 경기력을 보였다. 경기 후 김세영은 “가족이 직접 응원하러 와서 더 힘이 났다. 코스 상태도 최고였다”고 말했다. 김효주는 7번홀(파4)에서 120m 거리의 샷으로 이글을 기록하며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보기 없는 라운드로 9언더파 63타를 적어내며 단독 2위에 올랐다. “하와이에서 놓친 우승의 아쉬움을 해남에서 꼭 풀고 싶다”며 강한 의지를 드러낸 김효주는 페어웨이와 그린 적중률 모두 우수한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국내 유일의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정규 투어 대회인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5’가 16일부터 나흘간 전라남도 해남군 파인비치 골프링크스에서 열린다. 본 대회를 하루 앞둔 15일, 갤러리 플라자에서는 공식 포토콜 행사가 진행됐다. 포토세션에는 유해란, 윤이나, 김효주, 한나 그린(호주), 야마시타 미유(일본), 김아림 등 6명의 주요 출전 선수가 참석해 이번 대회의 시작을 알렸다. 이번 행사는 선수들의 포즈와 미소 속에 긴장감과 설렘이 교차한 자리였다. 각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한자리에 모인 만큼 현장의 분위기는 뜨거웠고, 취재진과 갤러리의 관심 또한 집중됐다.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은 국내외 골프 팬들이 손꼽아 기다려온 LPGA 정규 투어로, 세계 정상급 선수들이 해남의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명승부를 펼칠 것으로 기대된다.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대회를 하루 앞두고 마이크 앞에 선 선수들의 첫마디는 조용하고 담백했다. 그러나 이야기가 '바람'으로 흘러가자 표정과 말투에 진지함이 더해졌다. 10월 16일부터 나흘간 전남 해남 파인비치 골프링크스에서 열리는 LPGA 정규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5’. 공식 기자회견이 열린 15일, 윤이나·야마시타 미유·김효주·한나 그린·김아림·유해란 등 6명의 주요 출전 선수가 참석해 각자의 시선과 각오를 전했다. 공통 키워드는 “코스는 완벽하지만, 바람이 변수”였다. 기자회견의 문을 연 건 윤이나였다. “이런 무대에서 한국 팬들과 함께할 수 있어 무척 설렌다”고 말하며 분위기를 부드럽게 풀었다. “요즘 LPGA는 경쟁이 정말 치열하다. 다양한 선수가 우승하면서 매 대회가 새롭게 느껴진다. 나도 그 흐름 속에서 내 플레이를 보여주고 싶다.” 이어 “비가 오거나 흐려도 현장에 와서 응원해주시면 정말 큰 힘이 된다”며 팬들을 향한 메시지도 전했다. 야마시타 미유는 이번 대회를 LPGA 정규 투어 경험의 출발점으로 여겼다. “일본과 분위기가 비슷해서 코스 적응은 편했다. 바람만 잘 이겨내면 괜찮을 것 같다.” 이어 신인왕 후보로 주목받
대회 포스터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더채리티클래식(총상금 10억 원)'이 16일 경기도 파주 서원밸리컨트리클럽(파72·7천65야드)에서 개막한다. 올 시즌 3승을 거둔 옥태훈이 33년 만의 '시즌 4승'에 도전한다. 시즌 4승은 KPGA 투어 역대 한 시즌 최다승 기록으로, 최상호가 1985년, 1986년, 1991년, 1992년 네 차례나 이룬 바 있다. 옥태훈이 시즌 4승을 거두면 33년 만에 타이기록이 나오게 된다. 옥태훈 이하 사진: KPGA 제공 이번 시즌 세 차례 우승을 포함해 8회나 톱10에 들며 최고의 한 해를 보내는 옥태훈은 제네시스 포인트(6,363.40점)와 상금(9억9,278만 원) 모두 1위를 달리고 있다. 옥태훈은 "추석 연휴에 잘 먹고 쉬며 연습도 게을리하지 않았다"면서 "경북오픈에서 샷과 퍼트에서 아쉬웠던 부분의 감각이 올라왔다. 어떤 방향으로 가야 잘할 수 있겠다는 확신이 생겼다"고 밝혔다. 그는 "여러 기록과 타이틀에 대해 주변에서 많이 말씀하시지만, 일단 다가오는 대회만 생각하겠다"면서 "올 시즌엔 매 대회 컷 통과가 1차 목표였고, 이후 톱10, 톱5, 우승을 노리며 전략적으로 플레이했다.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가을 햇살이 부드럽게 내리쬐는 해남 파인비치 골프링크스. 눈앞에 펼쳐진 코스는 바다와 맞닿아 있고, 바람의 결이 선수들의 긴장감과 함께 흔들린다. 이곳에서 오는 16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5’는 골프를 넘어선 예술과 품격의 무대이자, ‘럭셔리와 스포츠가 어우러진 축제의 장’으로 다시금 세간의 관심을 모은다. 국내 유일의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정규 투어 대회로 자리매김한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은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이 대거 출전하며, BMW가 가진 품격과 정교한 브랜드 감각을 동시에 보여주는 무대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번 대회의 중심에는 선수들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있다. BMW 코리아는 출전 선수들이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XM·7시리즈·X7·iX 등 럭셔리 클래스 차량을 투입해 프리미엄 의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20여 대의 차량을 준비했다. 숙소와 경기장, 행사장 등 주요 이동 동선을 고려한 맞춤형 운영으로, 이동 중에도 BMW 특유의 정숙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다시 말해, BMW의 차량은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니라 ‘휴식이 되는 공간’이자 ‘경기력 유지의
지난해 경기도 파주 서원힐스CC에서 열렸던 대회 마지막 날 18번 홀에서 선수들의 경기 모습을 지켜보는 갤러리들. 이하 사진 제공: BMW 코리아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전남 해남에서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총상금 230만 달러)'이 열린다. 16일 개막해 나흘간 계속된다. PGA 투어 가을 '아시안 스윙'의 두 번째 대회인 이번 대회는 전남 해남군 파인비치 골프링크스(파72·6,785야드)에서 펼쳐진다. 이번 대회엔 LPGA 투어 소속 총 78명의 선수가 출전해 컷 탈락 없이 우승 경쟁을 벌인다. 우승 상금은 34만5,000달러다. 2019년에 시작한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은 2023년까지 한국 선수 혹은 한국계 선수들이 우승컵을 가져갔다. 2019년 장하나, 2021년 고진영, 2022년 리디아 고(뉴질랜드), 2023년 이민지(호주)가 우승했다. 2020년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열리지 않았다. 작년 대회에선 호주의 해나 그린이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을 달성하며 이 대회 최초로 한국 또는 한국계 선수가 아닌 우승자로 이름을 남겼다. 작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호주의 헤나 그린 그린은
콘페리 투어에서 뛰고 있는 불곰 이승택의 힘찬 드라이버 샷 장면 사진: 콘페리 투어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이승택(30). 그의 별명은 ‘불곰’이다. 그가 대회 최종 라운드에서 빨간 셔츠를 즐겨 입으며 얻은 애칭이다. 누가 지었는지 모르지만 참 잘 지은 별명이다. 그에게 딱 어울리는 표현이다. 키 176㎝에 몸무게 80㎏인 그는 불곰처럼 체격도 단단하다. 무엇보다 플레이 스타일도 ‘닥공(닥치고 공격)’이다. 주저하는 법이 없다. 시원시원하다. 그래서 그의 경기를 보고 있으면 속이 다 후련하다. 그는 쉽게 포기하지 않는 선수다. 서른 나이에 기어이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출전권을 따낸 것도 그의 남다른 끈기와 열정 덕분이다. 남자 골프 선수라면 누구나 세계 최고의 무대인 PGA 투어에서 뛰고 싶어한다. 야구 선수가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뛰고 싶어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만큼 미국은 꿈의 무대다. 내년 PGA 투어에서 뛰게 될 불곰 이승택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가슴이 뛴다”면서 “PGA 투어에서 좋은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했다. 이승택은 콘페리 투어 포인트 13위로 상위 20명에게 주는 PGA 투어 카드를 획득했다 이승택은 13일(한국 시간)
태국의 지노 티띠꾼이 우승 트로피를 들고 포즈를 취했다. 이하 사진: AFP=연합뉴스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역시 티띠꾼. 여자 골프 세계 랭킹 1위인 태국의 지노 티띠꾼(22)이 일본의 미나미 가쓰(27)와 5차 연장전까지 가는 피말리는 접전에서 승리했다. 티띠꾼은 12일 중국 상하이 치중 가든 골프클럽(파72·6,703야드)에서 열린 LPGA 투어 '뷰익 상하이(총상금 220만 달러)에서 우승했다. 시즌 2승을 차지한 티띠꾼은 올 시즌 LPGA 투어 첫 다승자가 됐다. 올 시즌 LPGA 투어에서는 그동안 단 한 명도 2승 이상을 올리지 못했다. 티띠꾼은 대회 전까지 우승 한 차례를 거뒀지만 4개 대회에서 2위를 기록하며 다승 기회를 번번이 놓쳤다. 특히 최근 출전한 2개 대회에서 모두 2위에 올랐다. 이번 대회에서도 여러 차례 고비를 겪었으나 치열한 승부 끝에 첫 2승의 감격을 누렸다. 우승 과정은 극적이었다. 티띠꾼은 라운드 중반까지 선두 가쓰에게 4타 뒤진 2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14번 홀(파4)부터 16번 홀까지 3개 홀 연속 버디를 잡아 가쓰를 무섭게 추격했다. 가쓰는 티띠꾼에게 한 타 차로 쫓기던 17번 홀에서 환상적인 칩인 버디에 성공하며
황유민이 우승 트로피들 들고 포즈를 취했다. 이하 사진: 'X'에서 캡처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황유민이 후원사 초청으로 출전한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롯데 챔피언십(총상금 300만 달러)에서 우승했다. 황유민은 5일(한국시간) 미국 하와이주 오아후섬 에바비치의 호아칼레이 컨트리클럽(파72·6,566야드)에서 열린 롯데 챔피언십 최종 4라운드에서 버디 6개와 보기 하나를 묶어 5언더파 67타를 쳤다. 최종 합계 17언더파 271타를 기록한 황유민은 2위 김효주(16언더파 272타)를 한 타 차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 상금은 45만 달러(약 6억3,000만 원)다. 2023년 KLPGA 투어에 데뷔해 2승을 올린 황유민은 메인 스폰서인 롯데 초청으로 이번 대회에 출전했다가 선두권에서 경쟁하며 돌풍을 일으킨 끝에 트로피까지 거머쥐었다. 내년 미국 무대 진출을 목표로 두고 연말 LPGA 투어 퀄리파잉 시리즈에 응시할 계획이었던 그는 이번 우승으로 퀄리파잉 시리즈를 거치지 않고 LPGA 투어 카드를 확보했다. 이번 시즌 한국 선수의 LPGA 투어 우승은 2월 개막전인 힐튼 그랜드 베케이션스의 김아림, 3월 포드 챔피언십의 김효주, 5월 블랙
김민솔이 우승 트로피 옆에서 포즈를 취했다. 이하 사진: KLPGA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김민솔이 KLPGA 투어 10개 대회 만에 2승을 거둬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김민솔은 우승 후 "올해 초에 세운 목표는 이미 넘어섰다. 앞으로는 우승도 좋지만, 더 성장하는 데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이번 시즌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에서 두 차례 우승하며 돌풍을 일으킨 특급 신인 김민솔은 '성장'을 새로운 과제로 내세웠다. 김민솔은 4일 전북 익산시 익산 컨트리클럽(파72)에서 변형 스테이블포드 방식으로 열린 동부건설·한국토지신탁 챔피언십(총상금 10억 원) 최종 라운드에서 버디 8개를 몰아쳐 역전 우승했다. 지난 8월 추천 선수로 출전한 BC카드·한경 레이디스컵에서 생애 첫 우승을 따내 KLPGA 투어에 입성한 김민솔이 불과 41일 만에 거둔 두 번째 우승이다. 이번 시즌에 두 번 이상 우승한 선수는 이예원, 방신실(이상 3승), 홍정민(2승)에 이어 김민솔이 네 번째다. 우승을 확정지은 뒤 김민솔이 동료들로부터 축하 물세례와 꽃세례를 받고 있다 놀라운 것은 김민솔이 올해는 다른 선수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10개 대회밖에 치르지 않았다는 사실
옥태훈이 우승 트로피를 오른손에 치켜들고 포즈를 취했다. 사진: KPGA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옥태훈이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시즌 3승 고지에 올랐다. 옥태훈은 4일 경북 예천의 한맥 컨트리클럽(파72·7,315야드)에서 열린 KPGA 투어 경북오픈(총상금 7억 원)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버디 9개와 보기 1개로 8언더파 64타를 쳤다. 최종 합계 22언더파 266타의 성적을 낸 옥태훈은 2위 최민철을 5타 차로 넉넉히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올해 6월 KPGA 선수권과 군산CC오픈에서 우승한 옥태훈은 시즌 3승 고지에 올랐다. 우승 상금 1억4,000만 원을 받은 옥태훈은 시즌 상금 9억9,162만 원을 기록, 시즌 상금 10억원 돌파도 눈앞에 뒀다. KPGA 투어 시즌 상금 10억 원 돌파는 지난해 장유빈(11억2,904만 원)이 유일한 사례다. 상금과 다승, 대상 포인트 1위를 질주하는 옥태훈은 전날 3라운드까지 단독 1위를 달린 배용준에 3타 뒤진 단독 3위였으나 이날 3∼5번, 10∼12번 홀 등 두 번이나 3연속 버디를 뽑아내며 역전 우승을 일궈냈다. 3라운드까지 선두였던 배용준이 전반 9개 홀에서 타수를 줄이지 못한 사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4, 대회장을 가득 채운 갤러리 사진: 웰컴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이달 16~19일,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파인비치 골프링크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유일의 미국 여자프로골프(LPGA) 정규 투어 대회인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5(BMW Ladies Championship 2025)’가 주요 출전 선수 명단을 공개하며 본격적인 대회 준비에 돌입한다. 총상금 220만 달러(우승 상금 33만 달러)에 나흘간 72홀 스트로크 플레이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번 대회에는 LPGA 스타 플레이어들이 한 자리에 모여 치열한 경쟁과 함께 세계 최정상급의 경기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올해 LPGA 메이저대회에서 가장 뛰어난 성적을 올린 선수에게 수여하는 롤렉스 안니카 메이저 어워드를 수상한 이민지(호주)가 참가한다. 올해 KPMG 여자 PGA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며 메이저 퀸에 등극한 이민지는 지난 2023년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한 바 있어 이번에 대회 사상 최초의 다승 기록에 도전한다. 이와 함께 야마시타 미유(일본), 마야 스타크(스웨덴), 그레이스 킴(호주) 등 올 시즌 메이저 챔피언들이 다수 출전
김성현 사진: 프레인스포츠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김성현이 2026 시즌 PGA 투어 출전 자격을 확보했다. PGA 투어 2부인 콘페리 투어는 1일 "콘페리 투어 포인트 순위 6위에 올라 있는 김성현이 최종 상위 20명에게 주어지는 내년 PGA 투어 출전권을 조기에 확정지었다."고 발표했다. 김성현은 지난 5월에 열린 2025 어드벤트헬스 챔피언십에서 첫 콘페리 투어 우승을 거두었다. 시즌 개막전이었던 바하마 골프 클래식에서는 행크 레비오다와의 연장전 끝에 준우승을 차지했고, 이어 3월에 열렸던 118회 비자 아르헨티나 오픈에서도 준우승을 기록했다. 김성현은 이번 시즌 총 16개 대회에 출전해 다섯 차례 톱10에 올랐다. 이를 통해 1,343 포인트를 획득했다. 김성현은 최근 두 대회에 출전하지 않았음에도 2025년 콘페리 투어 포인트 리스트에서 6위를 유지, 최종 포인트 리스트를 통해 주어지는 20장의 PGA 투어 카드 중 한 장을 사실상 확보했다. 김성현은 2017년 12월, 만 19세의 나이로 프로에 데뷔해 2019년부터 일본 골프 투어와 ACN투어에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2020년에는 KPGA 투어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장은수가 우승 트로피를 들고 포즈를 취했다. 이하 사진: KLPGA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장은수(27)가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드림투어에서 통산 4승을 달성했다. 장운수는 9월 30일 강원도 평창군 휘닉스 컨트리클럽(파72/6,361야드)에서 열린 ‘만수정 KLPGA 2025 드림투어 17차전(총상금 7,000만 원, 우승상금 1,050만 원)’에서 최종합계 10언더파 134타(68-66)로 심지연(24)과 연장전을 벌였다. 우승의 향방은 연장 첫 번째 홀에서 갈렸다. 18번 홀(파4,365야드)에서 열린 연장전에서 심지연이 파에 그친 반면, 장은수가 약 9m 거리의 장거리 버디 퍼트를 성공하며 드림투어 통산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장은수가 우승을 확정짓고 동료들로부터 축하 물세례를 받고 있다 장은수는 “연장에 들어가기 전 긴장이 많이 됐는데, 긴장되면 나도 모르게 급해지니까 스윙 템포에만 집중하자고 생각했다. 마지막 9m 퍼트를 하기 전에는 라인이 다 보였고, ‘어깨에 힘 빼자, 짧게 치지 말자’고 다짐했는데 막상 성공하고 나니 얼떨떨했다.”고 밝혔다. 장은수는 “1라운드 때 경기가 원하는 대로 잘 풀리면서 최종라운드에서도 내 골프에
최혜정이 우승 트로피를 들고 포즈를 취했다. 이하 사진: KLPGA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최혜정(41)이 KLPGA 챔피언스 투어 7차전에서 올 시즌 두 번째 우승을 하며 2년 연속 상금왕을 확정했다. 최혜정은 9월 30일 전라남도 영광군에 위치한 웨스트오션 컨트리클럽(파72/5,634야드)의 오션(OUT), 밸리(IN) 코스에서 열린 ‘KLPGA 2025 웨스트오션CC 챔피언스투어 7차전(총상금 7,000만 원, 우승상금 1,050만 원)’에서 우승했다. 1라운드에서 버디 7개, 보기 1개를 묶어 중간합계 6언더파 66타로 공동 2위에 오른 최혜정은 최종라운드에서 버디 9개와 더블보기 1개를 기록하며 최종합계 13언더파 131타(66-65)로 우승을 차지했다. 최혜정은 “우승을 추가하면서 올 시즌 챔피언스투어 첫 다승자가 되었는데 정말로 기쁘다.”면서 “날씨도 좋았고 컨디션 관리도 잘한 덕분에 계획했던 대로 잘 플레이했다. 우승으로 마무리해서 기분 좋다.”고 우승 소감을 밝혔다. 최혜정은 “최종라운드 7번 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공격적으로 플레이하려고 다른 선수들이 유틸리티로 티샷을 칠 때, 드라이버로 공략했는데 버디로 연결했다.”면서 “홀
지이코노미 방제일 기자 | 글로벌 골프 토털 플랫폼 기업 ㈜골프존(각자대표이사 박강수·최덕형)이 총상금 19억 원 규모의 ‘2025 골프존 차이나오픈’ 대회를 성료하며 글로벌 골프투어로 발전 가능성을 확인했다. ‘2025 골프존 차이나오픈’은 지난 8월 28일부터 31일까지, 필드 골프투어와 같이 나흘간 중국 연길 소재의 골프존 시티골프 중국 2호 연길점에서 진행됐다. 지난해 첫 선보인 골프존 시티골프 중국 1호 톈진점에서 열린 ‘2024 골프존 차이나오픈’ 이후 두 번째 대회로, 시티골프 신사업 론칭 단 1년 만에 신규 시티골프 거점을 확보하고 상금 규모 역시 두 배로 확대하는 등 시티골프에서 치러지는 골프존 투어의 확장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평을 받는다. 차이나오픈 대회가 열린 골프존 시티골프 중국 2호 연길점은 부지 선정 단계부터 시티골프 전용 구장으로 기획·설계됐다. 부대시설을 포함해 총 약 2.5만㎡(7,500평) 규모의 복합 골프 문화공간으로 완성됐다. 골프존의 시티골프 전용 시뮬레이터와 톈진점에서 쌓은 운영 노하우를 적용한 연길점은 시티골프 전용 구장인만큼 탁 트인 시야와 아일랜드 그린까지 갖춘 박진감 넘치는 라운드 환경을 제공하며 골퍼들에게 몰입
라이더컵을 들고 기뻐하는 유럽팀. 사진: 로이터=연합뉴스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유럽이 미국과 골프 대항전 라이더컵에서 2회 연속 우승과 13년 만에 원정 우승을 이뤘다. 유럽은 29일(한국시간) 미국 뉴욕주 파밍데일의 베스페이지 블랙 코스(파70)에서 열린 라이더컵 최종일 싱글매치 경기에서 1승 5무승부 6패를 거둬 승점 3.5점을 보탰다. 유럽은 승점 합계 15점으로 13점에 그친 미국을 따돌리고 우승했다. 유럽팀 선수들이 로리 맥길로이(가운데 라이더컵을 들고 있는 선수)와 함께 팔을 치켜들고 환호하고 있다. 이하 사진: AP=연합뉴스 2년마다 열리는 라이더컵에서 2023년에 이어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한 유럽은 특히 2012년 미국 일리노이주 머다이나 컨트리클럽 대결에서 이긴 이후 13년 만에 원정 우승을 차지했다. 라이더컵은 홈팀이 코스 세팅을 맡는 데다 팬들의 응원까지 더해 원정팀이 이기기 힘들다. 라이더컵이 유럽과 미국의 대항전으로 굳어진 1979년 이후 원정팀이 홈팀을 꺾은 사례는 이번이 7번째다. 유럽은 5번이나 원정 우승을 따냈고 미국은 1993년 영국 대회 이후 32년째 유럽 원정에서 우승하지 못했다. 특히 이번 대회는 유난히 뉴욕 지역
우승 트로피를 들고 포즈를 취한 성유진. 이하 사진: KLPGA 제공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성유진(25)이 노승희(24)와 4차 연장전까지 가는 치열한 접전 끝에 정상에 올랐다. KLPGA 투어 '하이트진로 챔피언십'에서다. 성유진은 28일 경기도 여주시 블루헤런 골프클럽(파 72)에서 열린 시즌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시즌 마지막 메이저대회 하이트진로 챔피언십(총상금 15억 원) 최종일 연장전에서 노승희를 꺾고 우승했다. 둘은 이날 최종 라운드를 합계 10언더파 278타로 마쳐 18번 홀(파5)에서 연장전을 벌였다. 성유진은 버디 4개에 보기 1개를 곁들여 3타를 줄였고 노승희는 최종 4라운드에서 버디 4개와 보기 2개를 묶어 2언더파 70타를 쳤다. 1∼3차 연장전에서 승부를 가리지 못했고 4번째 연장에서 성유진은 2m 버디 퍼트를 넣어 긴 승부에 마침표를 찍었다. 성유진이 우승을 확정짓고 두 팔을 들고 환호하고 있다 노승희는 7m 버디 퍼트가 빗나갔다. 이날 최종 라운드가 폭우 때문에 예정 시간보다 2시간가량 늦어진 바람에 연장전은 조명을 켠 채 치러졌다. 최종 라운드 중 비가 많이 내려 경기위원이 경기 중단을 알리고 있다 성유진과 노승희
지이코노미 방제일 기자 | 2024 KMAGF 미드아마 랭킹 1위 허지백이 2025 아시아-태평양 시니어 아마추어 챔피언십에서 공동 우승을 차지하며 2년 연속 정상에 올랐다. 9월 24일(수)부터 9월 26일(금)까지 3일간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2025 아시아-태평양 시니어 아마추어 챔피언십(Asia-Pacific Senior Amateur Championship)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만 55세 이상 시니어 아마추어 골프 선수들이 참가하는 권위 있는 골프 대회이다. 당초 3라운드로 예정됐으나, 마지막 날 태풍 ‘부알로이’의 영향으로 최종 라운드가 취소되면서 2라운드까지의 성적으로 순위가 확정됐다. 허지백은 4언더파 140타(67,73)를 기록하며 공동 우승을 거머쥐었다. 그는 “2년 연속으로 본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해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더욱 발전하여 한국 골프의 위상을 높이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단체전에서는 호주가 432타(214, 218)로 우승을 차지했으며, 한국은 439타(216, 223)로 준우승을 기록했다.
라이더컵 개막식. 사진: UPI=연합뉴스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세플러와 맥길로이의 대결. 과연 누가 이길까. 현 세계 1, 2위의 맞대결 성사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다. 무대는 미국에서 벌어지는 '2025 라이더컵'이다. 미국과 유럽, 대륙의 자존심을 건 골프 전쟁 ‘2025 대륙대항전 라이더 컵’이 미국 뉴욕의 베스페이지 블랙코스(파70 / 7,352야드)에서 개최된다. 첫째 날과 둘째 날은 포섬 4경기와 포볼 4경기씩 열리고 마지막 날에는 양 팀 12명이 모두 나서 싱글 매치 플레이 12경기를 치른다. 승리하면 승점 1점, 무승부는 0.5점을 획득하게 된다. 이번 대회 개막식은 당초 대회 하루 전날인 26일(한국 시간) 열릴 예정이었으나 폭우 예보에 따라 하루 앞당겨 25일 미국 뉴욕의 베스페이지 블랙코스 특설 무대에서 열렸다. 개막식, 25일 열려 양 팀 단장과 부단장들을 포함한 선수단은 관례에 따라 정장을 입고 단상에 올랐다. 드레스 차림으로 한껏 멋을 낸 아내 또는 동거인, 애인들(WAGs)은 먼저 등장했다. 유럽팀 WAGs는 흰색 재킷과 바지 정장을 맞춰 입었고, 미국팀 WAGs는 감색 원피스 정장으로 멋을 냈다. 유럽팀 선수 부인들. 사진:
아시아 최강 마쓰야마 히데키가 올해 '제네시스 챔피언십'에 출전한다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아시아 선수 중 가장 높은 세계랭킹을 기록 중인 마쓰야마 히데키가 오는 10월 23일부터 충남 천안 소재 우정힐스C.C.에서 개막하는 제네시스 챔피언십에 출전한다. 2013년 PGA 투어에 데뷔한 마쓰야마 히데키는 명실상부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 최정상급 선수로 2021년 세계 4대 메이저 대회인 마스터스 토너먼트의 아시아 최초 우승자이자, 일본인 최초 메이저 우승자로 기록된 바 있다. 올 시즌 PGA 투어 개막전인 더 센트리에서는 콜린 모리카와(미국)를 3타차로 제치고 PGA 투어 역대 최다 언더파 기록(35언더파) 경신과 동시에 PGA 투어 통산 11승을 달성하며 아시아 선수 최다승 기록 또한 경신했다. 2년마다 미국과 세계 연합과의 팀 대항전으로 열리는 프레지던츠컵에도 여섯 차례 출전한 바 있는 마쓰야마 히데키는 현재 아시아 선수 중 가장 높은 세계랭킹인 16위를 기록하고 있을 만큼 꾸준한 경기력을 앞세워 세계 최정상급 기량을 유지하고 있다. 마쓰야마 히데키는 “세계 여러 코스를 돌며 내 실력을 테스트하는 것을 즐기기 때문에 제네시스 챔피언십에 출전하게 되어 매
찰리 헐이 우승 트로피를 두 손으로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이하 사진: AP=연합뉴스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찰리 헐(29. 잉글랜드)이 3년 만에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정상에 오른 뒤 "고통은 정신적 나약함일 뿐"이라고 말했다. 헐은 15일(한국시간) 미국 오하이오주 해밀턴타운십의 TPC 리버스벤드(파72)에서 열린 '크로거 퀸시티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한 뒤 "지난 몇 년 준우승이 많았고, 최근 몇 주에도 AIG 여자오픈과 이후 레이디스 유러피언투어 대회에서 준우승했는데 그 끝에 우승하게 돼 정말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헐은 이날 4라운드까지 최종 합계 20언더파 268타를 쳐 지노 티띠꾼(태국)을 한 타 차로 제쳤다. 2022년 10월 볼런티어스 오브 아메리카 클래식 이후 약 3년 만에 찾아온 헐의 LPGA 투어 통산 3번째 우승이다. 올해 들어서 불운한 상황을 여러 차례 겪었던 헐에게는 더욱 값진 트로피였다. 그는 7월 에비앙 챔피언십 경기 중 두 번이나 쓰러져 기권했고 지난달에는 주차장에서 넘어져 발목을 다치기도 했다. 헐은 "에비앙 대회 몇 달 전엔 박스를 들어 올리다가 허리를 다치기도 했는데, 이후 나아지지 않아 자기공명영
지이코노미 방제일 기자 | 일본의 '작은 거인' 히가 가즈키가 3년 만에 신한동해오픈(총상금 15억원) 정상을 탈환했다. 14일 히가는 인천 송도의 잭니클라우스 코리아 골프클럽(파72)에서 열린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신한동해오픈 최종 라운드에서 4타를 줄였다. 최종 합계 18언더파 270타를 적어낸 히가는 2위 이태훈(캐나다), 스콧 빈센트(짐바브웨)를 한 타 차로 제치고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이번 대회는 일본프로골프투어(JGTO), 아시안프로골프투어가 공동 주관한다. 히가는 일본프로골프투어 시즌 두 번째 우승에 성공했다. 통산 8승이다. 이 대회에선 2022년 이후 3년 만에 정상에 등극했다. 히가는 우승 상금 2억7000만원과 함께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5년 시드와 JGTO, 아시안투어 2년 시드도 확보했다. 158㎝인 히가는 2023년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마스터스에서 대회 사상 최단신 선수로 기록되기도 했다. 단독 선두로 최종 라운드에 나선 히가는 전반에만 5타를 줄이며 경쟁자들의 추격을 뿌리쳤다. KPGA 투어에서 4승을 올린 이태훈(캐나다)은 이날 5타를 줄이며 공동 2위(17언더파 271타)에 올랐다. 히가를 1타 차로 추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