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31.5℃
  • 구름많음강릉 27.2℃
  • 흐림서울 31.6℃
  • 소나기대전 26.5℃
  • 흐림대구 30.8℃
  • 구름많음울산 31.5℃
  • 흐림광주 29.3℃
  • 흐림부산 31.1℃
  • 흐림고창 26.8℃
  • 제주 29.8℃
  • 구름많음강화 31.1℃
  • 흐림보은 28.1℃
  • 흐림금산 27.7℃
  • 흐림강진군 27.4℃
  • 흐림경주시 27.9℃
  • 흐림거제 29.0℃
기상청 제공

[속보] 6일 주식 시장 반등 출발, 어느 선까지 반등할까 귀추 주목

-코스피 3.76% 오른 2533.34, 코스닥 2.57% 오른 709. 04에 거래 시작

 

지이코노미 김대진 편집국장| 5일 사상 최대 폭락을 보였던 코스피와 코스닥이 하루 뒤 바로 반등에 성공했다. 6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441.55)보다 91.79포인트(3.76%) 급등한 2533.34에 개장했다.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691.28)보다 17.76포인트(2.57%) 오른 709.04에 거래를 시작했다. 일본 닛케이지수도 1.97% 상승한 채 출발했다.

이같은 반등 움직임이 어느 선까지 치고 올라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코스피는 전날 전 거래일 대비 8.77% 급락한 2,441.55에 거래를 마쳤다. 하락폭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였다. 코스닥도 전 거래일 대비 11.3% 하락한 691.28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와 코스닥은 하락폭이 커지면서 오후 한때 거래가 20분간 중단되는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기도 했다. 국내 증시에서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된 것은 2020년 3월 19일 이후 4년 4개월여 만이다.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과 대만, 미국, 유럽 등의 증시도 일제히 급락했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12.4% 급락, 1987년 10월 20일 ‘블랙 먼데이’ 충격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대만 자취안 지수 역시 8.35% 빠진 19,830.88로 거래를 마쳤다.

한국 시간 5일 밤 개장한 미국 뉴욕증시 주요 지수도 2년 만에 최대 폭으로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33.99포인트(-2.60%) 내린 38,703.27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0.23포인트(-3.00%) 내린 5,186.3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76.08포인트(-3.43%) 내린 16,200.08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이날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지난 2022년 9월 13일 이후 약 2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올해 미 증시 강세를 견인해온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가 6.4% 급락했고, 애플은 4.8% 하락했다.

유럽 증시도 2% 안팎 하락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스톡스600은 2.22% 하락한 486.79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닥스는 1.95% 밀린 17,317.58, 프랑스 CAC40은 1.61% 빠진 7,134.78로 마감했다. 영국 FTSE 지수도 8,008.23로 2.04% 하락했다.

월요일 증시가 일제히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블랙 먼데이’ 공포를 낳은 원인으로 △미국 경기 둔화 우려 △엔 캐리 트레이드(금리가 낮은 엔화를 빌려 금리가 높은 국가 자산에 투자) 청산에 따른 글로벌 투자자금 이탈 △글로벌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의구심 확대 △중동 확전 가능성 고조 △지수 상승에 따른 밸류에이션 부담 증가 등의 악재가 한꺼번에 겹쳤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6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박춘섭 경제수석 등과 함께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를 가졌다.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지난 주 후반 미국 증시가 7월 고용지표 부진으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가 부각된 뒤 주요 빅테크 기업 실적 우려와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또 일본 은행의 금리 인상 후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과 중동지역 불안 재부각 등이 중첩되면서 주요 국가의 주식시장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진단했다.

참석자들은 해당 요인들에 대한 미국 시장의 평가가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증시가 과도하게 반응한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과거 급락 때는 실물·주식·외환·채권 시장에 실질적인 충격이 동반됐던 반면, 이번 조정은 해외발 충격으로 주식 시장에 한해 조정이 돼 과거와는 다른 이례적 상황이라는 점도 근거로 들었다.

참석자들은 정부·한은이 대외 충격에 따른 시장 변동성에 대해 충분한 정책 대응 역량을 갖추고 있는만큼 시장 참가자들이 지나친 불안심리 확산에 유의하면서 차분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최 부총리는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될 경우 상황별 대응계획(컨디전시 플랜)에 따라 긴밀히 공조해 대응하고, 필요시 시장 안정조치들이 신속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 대응체계 유지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