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유빈이 시상식이 끝난 뒤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KPGA)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한국남자프로골프(KPGA) 투어 장유빈(22)이 13일 '백송홀딩스·아시아드CC 부산오픈(총상금 10억 원)'에서 우승하며 코리안투어 최초로 상금 10억 원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다. 장유빈은 이날 부산 기장군 아시아드 컨트리클럽(파71)에서 열린 대회 최종 4라운드에서 버디 4개와 보기 1개를 묶어 3언더파 68타를 쳤다. 최종 합계 9언더파 275타를 기록한 장유빈은 동타를 기록한 장희민(22)과 연장 승부를 벌였다. 장유빈은 연장 첫 홀(18번 홀·파4)에서 버디를 잡아내면서 파에 그친 장희민을 제치고 우승했다. 장유빈은 지난 7월 군산CC 오픈에서 2연패를 기록한 이후 3개월 만에 시즌 2승이자 KPGA 투어 통산 3승을 달성했다. 장유빈은 지난해 7월 아마추어로 KPGA 투어 군산CC 오픈에서 우승한 뒤 9월 항저우 아시안게임 단체전 금메달을 따내면서 남자골프 최고의 유망주로 떠올랐다. 장유빈은 평균 드라이브 비거리 1위(312.656야드)를 앞세워 화끈한 공격형 플레이를 선보이고 있다. 장유빈은 이번 대회 전까지 시즌 상금 8억 361만 원으로 상금랭
(김민별이 우승 자켓을 입츤 채 우승트로피를 들고 포즈를 취했다. 사진 제공:KLPGA) 지이코노미 김대진 기자 | 지난해 신인왕 출신 김민별(20)이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동부건설 한국토지신탁 챔피언십(총상금 10억 원)' 드디어 처음으로 우승했다. 김민별은 13일 전북 익산시 익산 컨트리클럽(파72)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보기 없이 버디만 9개를 기록하며 18점을 추가했다. 김민별은 최종합계 +49점으로 2년 연속 우승에 도전한 방신실과 정윤지의 추격을 뿌리치고 프로 데뷔 52번 째 대회만에 우승 물꼬를 텄다. 이번 KLPGA 투어 대회 가운데선 유일하게 변형 스테이블 포드 방식으로 열렸다. 앨버트로스 8점, 이글 5점, 버디 2점, 파 0점, 보기 -1점, 더블보기 이하 -3점 등 각 홀 성적에 따라 정해진 점수를 부여해 합산 점수로 순위를 정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데뷔한 김민별은 우승이 없었으나 준우승 3회를 포함해 톱10, 12회를 기록하며 방신실, 황유민의 추격을 제치고 신인왕에 올랐다. (김민별이 4라운드 중 그린 밖에서 어프로치 샷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KLPGA) 정규투어 2년 차에 접어든 김민별이 탄탄한 실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니혼 히단쿄를 선정했다는 노벨위원회 발표문. 노벨위원회 누리집 캡처 지이코노미 김대진 편집국장 |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는 일본의 원폭 생존자 단체인 일본 원폭피해자단체협의회(日本被團協·니혼 히단쿄)가 선정됐다. 노벨위원회는 11일(현지 시간)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 피해자들의 풀뿌리 운동 단체인 니혼 히단쿄를 2024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니혼 히단쿄는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과 증언을 통해 핵무기가 다시는 사용돼어선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준 공로가 있다"면서 "니혼 히단쿄와 다른 히바쿠샤(피폭자·원폭 피폭자를 뜻하는 표현)의 대표자들의 특별한 노력은 '핵 금기'의 확립에 크게 이바지했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또 "이 역사적 증인들은 자기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육 캠페인을 만들고, 핵무기 확산과 사용에 대해 긴급히 경고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핵무기에 대한 광범위한 반대를 형성하고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설명했다. 노벨위원회는 내년은 미국의 원폭 두 개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주민 약 12만 명을 죽인 지 80주년이 되는 해라면서 오늘날의 핵무기는 훨씬 더 파괴적인 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방망이를 치고 있다 지이코노미 김대진 편집국장 | 한국은행이 11일 기준금리를 .25%p 인하했다. 3년2개월만에 통화정책이 긴축에서 완화로 돌아선 것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이날 오전 열린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현재 3.50%인 기준금리를 3.25%로 0.25%포인트(p) 낮췄다. 2021년 8월 0.25%p 인상 이후 이어진 통화 긴축 기조를 마무리하고 완화 시작을 알리는 3년 2개월 만의 피벗(통화정책 전환)이다. 금리 인하로만 보면 2020년 5월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수도권 집값과 가계대출이 다시 들썩일 우려가 있다. 그러나 한은이 이런 금융안정 측면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인하를 단행한 것은 무엇보다 우리나라 경기·성장이 부진하기 때문이다. 높은 금리와 물가에 억눌린 민간 소비·투자 등 내수에 숨통을 틔워주는 게 시급하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또한 역대 최대폭(2.0%p)까지 벌어졌던 미국과의 금리차가 지난달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빅컷'(0.50%p 기준금리 인하)과 함께 1.5%p로 축소되면서, 우리나라 금리 인하에 따른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가치
작가 한강의 인물 캐리커처. 노벨상위원회 누리집에서 캡처 기자는 한때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의 대표작을 골라 읽은 적이 있었다. 30년도 훨씬 전의 일이다. 그 가운데 지금도 기억에 남아 있는 작품은 ‘백년동안의 고독(One Hundred Years of Solitude)’이다. 남미 콜롬비아 출신의 작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가 쓴 작품이다. 제목부터가 심상치 않았다. 묘한 매력이 느껴졌다. 무언가 우리 정서와 닿아 있을 것이란 느낌이 왔다. 실제 내용도 예상대로였다. 호세 아르카디오 부엔디아와 그의 사촌 여동생 우르술라 이구아란과 근친상간적 결혼생활로부터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들이 세운 남미 처녀림 속의 마콘도라는 새로운 도시가 대를 이어 반복되는 근친상간의 혼돈 속에 몰락하는 과정을 역사와 전설적인 요소를 가미해 엮었다. 작가는 이 작품으로 1982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1967년 처음 출간된 후 32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100만 부 이상 팔렸다고 한다. 노벨문학상의 힘이라고도 할 수 있다. 지금은 고인이 된 작가는 자신이 노벨문학상을 받고 조국 콜롬비아를 전 세계에 알렸다. 중남미 작가로는 칠레의 가브리엘라 미스트랄(1945년), 파블로 네루다(
작가 한강 지이코노미 김대진 편집국장 | 소설가 한강(53)이 대한민국 작가 최초로 노벨 문학상 수상자에 선정됐다. 한국인이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된 것은 지난 2000년 평화상을 받은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다. 스웨덴 한림원은 10일(현지시간) 올해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한국의 작가 한강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림원은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생의 연약함을 드러낸 강렬한 시적 산문"이라며 선정 이유를 밝혔다. 수상자에게는 상금 1천100만 크로나(약 13억4,000만 원)와 메달, 증서가 수여된다. 2024년도 노벨문학상 수상자 선정을 알리는 내용(노벨상 홈페이지 캡처) 작가 한강은 1970년 11월 전남 광주에서 태어났다. 소설가 한승원의 딸로 대를 이은 문학가이자 문인가족이다. 한강은 문단에 데뷔하자마자 '차세대 한국문학의 기수'로 관심을 끌었다. 그의 아버지 한승원은 소설 '아제아제 바라아제' '추사' '다산의 삶' '물에 잠긴 아버지' 등을 펴낸 한국 문단의 거장이다. 한승원과 한강은 국내 최고 소설문학상으로 꼽히는 이상문학상을 부녀 2대가 수상하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한강의 오빠 한동림 역시 소설가로 활동 중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월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한국, FTSE Russell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관련 브리핑에서 발표문을 낭독하고 있다.) 지이코노미 김대진 편집국장 | 대한민국이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World Government Bond Index) 편입에 성공했다. WGBI는 블룸버그-바클레이스 글로벌 국채지수(BBGA), JP모건 신흥국국채지수(GBI-EM)와 함께 전 세계 기관투자자들이 추종하는 채권지수로 꼽힌다. 2022년 9월 관찰대상국(Watch List) 지위에 오른 지 네번째 도전만의 성공이다. 지난 2002년 BBGA에 이어 WGBI까지 양대 '국채 선진그룹'에 올라섰다.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8일(현지시간) 채권국가분류 반기리뷰에서 한국을 WGBI에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편입 여부가 결정된 것으로, 1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실제 지수 반영 시점은 '내년 11월부터'라고 명시했다. 2025년 11월부터 1년간 분기별로 편입비중이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발행한 지 오래되지 않아 발행잔액과 유동성이 상대적으
지이코노미 김대진 편집국장 | LG전자가 올 3분기(7~9월) 연결 기준 매출액 22조1,769억 원, 영업이익 7,511억 원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실적으로 물류비와 마케팅 비용이 급증한 영향이다. LG전자는 8일 올해 3분기 매출액 22조1,769억 원, 영업이익 7,511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10.7% 늘었고 전분기대비로도 2.2% 증가했다. 3분기 기준 최대치다. 반면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20.9% 줄고 전분기대비로도 37.3% 하락했다. 이번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영업이익 1조226억 원)를 밑도는 어닝쇼크에 해당한다. LG전자는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2024년 3분기 연결기준 순이익과 각 사업본부별 실적을 발표할 계획이다. LG전자 관계자는 "하반기 들어 급등한 물류비 영향 및 마케팅비 증가에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줄었다"고 설명했다. LG전자는 앞서 2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하반기 해상운임 비딩 결과 컨테이너당 평균 해상운임이 전년 동기 대비 약 58% 상승하고, 광고비 등 마케팅 경쟁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 LG전자가 전
「AI 2025 활용 백과 with 샘 알트만」 출간 사전 예약 판매 실시 - 조성수 저자(광문각출판미디어그룹) 지이코노미 김대진 편집국장ㅣ한국AI교육협회 부회장 겸 챗GPT인공지능지도사협회 수석부회장이며 월간 골프잡지 '골프먼스리'를 발행하는 조성수 대표가 「AI 2025 활용 백과 with 샘 알트만」을 이달 12일 공식 출간한다. 이 책은 인공지능(AI) 기술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가능성에 대해 심도있게 탐구한 필독서로, 오픈AI의 공동 창립자 샘 알트만의 비전과 성공 전략을 생생하게 담고 있다. 특히 AI가 어떻게 우리의 일상과 산업 전반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으며, 미래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이 책은 단순히 기술적 정보 제공에 그치지 않고, AI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까지 포괄하여 AI 기술이 인류에게 주는 혜택과 함께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면밀히 분석한다. AI 전문가뿐만 아니라 AI 도입을 준비 중인 기업, 정책 입안자, 그리고 미래의 AI 시대를 대비하는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가이드북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AI 2025 활용 백과 with 샘 알트만」은 오
지이코노미 김대진 편집국장 | 삼성전자가 올 3분기 9조1,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작년 동기보다 274.49% 증가한 것이다. 이는 10조 원대 이상을 예상했던 시장 기대치보다는 낮다. 스마트폰과 PC 등의 수요 회복이 예상보다 더디며 주력인 범용 D램이 부진한 데다, 반도체 부문의 일회성 비용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9조1,00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74.4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은 79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7.21% 증가했다. 매출은 분기 사상 최대였던 2022년 1분기(77조7,800억 원)의 기록을 뛰어넘어 사상 최대 기록을 썼다. 앞서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1개월 내 보고서를 낸 증권사 18곳의 컨센서스(실적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2조4,335억 원)의 4배가 넘는 10조3,047억 원, 매출은 19.98% 증가한 80조8,700억 원으로 각각 예측됐다. 당초 3분기 영업이익으로 14조 원대까지 내다봤던 증권업계는 최근 들어 눈높이를 10조 원 안팎으로 낮춰 잡았다.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