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츠하이머란? ‘영츠하이머(Youngzheimer)’란 젊은 세대를 뜻하는 ‘영(Young)’과 치매를 일으키는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Alzheimer)’를 결합한 신조어이다. 휴대폰이나 컴퓨터 등 디지털 기기에 과도하게 의존하면서 기억력과 계산 능력이 떨어지고, 정보 과다로 인한 건망증 증세가 심해진 상태를 뜻한다. 의학적으로 디지털 치매는 뇌세포가 파괴되는 치매와는 다르며, 질병이 아닌 디지털 사회가 만든 일종의 사회적 증상으로 분류된다. 디지털에 의존하는 일상 현대인은 아침에 스마트폰 알람으로 잠에서 깨고, 일정 관리도 휴대폰이 대신한다. 전화번호를 외울 필요도 없고, 길찾기 역시 내비게이션이 알아서 안내한다. 이렇게 디지털 환경 속에서 자란 세대는 스스로 기억하거나 계산할 필요가 없어 ‘기억력’이라는 능력이 점점 약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어제 점심 메뉴가 기억나지 않거나, 아침에 가스밸브를 잠갔는지 헷갈리고, 회사 직통번호가 생각나지 않는다면 디지털 치매 위험군일 수 있다. 검색에 필요한 뇌 기능은 발달하지만, 스스로 기억하려는 동기와 의지가 없으면 두뇌의 기억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사람의 기억은 뇌의 ‘해마(hippocampus)’에서 담
다이어트는 현대인들의 영원한 적이자 무덤까지 함께할 동반자이기도 하다. 매년 1월 1일이면 “올해는 꼭 다이어트에 성공하겠다”는 각오로 새해를 시작하지만, 작심삼일로 무너지는 게 바로 다이어트다. 그런데 혹시 무리한 다이어트로 귀가 먹먹하거나 자신의 목소리가 이상하게 들리신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이관 개방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심한 운동과 급격한 식이요법으로 다이어트를 했다가 귀 건강에 적신호가 온 사례자가 있다. 33살의 미혼 여 성이 병원을 찾아 이명을 동반한 중도 난청으로 보청기를 처방받기 위해 상담을 요청했다. 이 여성은 결혼을앞두고 예비 신랑과 함께 해외 신혼여행을 계획하면서 단기간에 살을 빼기 위해 하루 한 끼 식사로 제한했다. 어떤 날은 온종일 굶기도 했고, 주말에는 관절에 무리가 갈 정도로 운동을 강행했다. 그 결과, 4개월 만에 15kg을 감량했다. 하지만 4개월이 지난 후 그 후유증을 심하게 앓고 있다. 특히, 칼슘과 비타민, 철분 등 영양소가 부족하여 생리불순과 탈모 증상이 나타났다. 무엇보다 이 여성을 더욱 힘들게 했던 건 주변 사람들의 말소리가 귀에서 울려들리는 것이었다. 여기에 본인의 말소리가 마치 물속이나 항아리 속에서 말하는
사람은 누구나 나이가 든다. 나이를 먹는 것으로도 서러운데, 더 힘겹게 하는 것이 있다. 바로 모든 신체 기관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노화가 일어나면서 노인성 난청이 생기는 건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노인성 난청은 가족이나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 불편하고 어려움은 있지만 다른 질환처럼 당장 생명에 위험을 느끼지 않기에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고립감이나 좌절감 등 소외감을 느끼게 되고 치매의 위험이 따를 수 있다. 노인성 난청은 미리 알고 예방하면 어렵지 않다. WORDS 정순옥 우리나라 노인의 의치와 틀니 착용은 50% 이상이지만, 보청기 착용은 단 2%에 불과하다. 전국 노인 생활실태 및 복지 욕구 조사'에 보면 우리나라 노인들은 절반 이상이 의치와 틀니 등의 인공치아를 사용 중이다. 반면, 보청기 착용은 단 2%에 불과하다. 하지만 제때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아 가족과 사회로부터 소외되는 노인이 많다. 노인성 난청은 6575세 사이의 노인 가운데 3035%, 75세 이상에서는 50% 이상으로 흔한 질환이다. 그렇다면 의치나 틀니 등 인공치아 착용률과 비교했을 때 보청기를 차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본격적인 여름을 맞아 등산이나 캠핑, 자전거 타기 골프 등 야외 활동을 계획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자연과 함께 야외 활동을 하게 되면 스트레스를 풀 수 있고, 체내 비타민D 수치가 높아져 자존감도 증진해 창의성과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지만, 초대하지 않은 불청객을 만날 수 있으니, 대처법을 알아두고,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WRITER 정순옥 여름날, 최고의 힐링은 울창한 나무숲 속에서 낮잠을 즐기는 것이 아닐까? 이때는 정말 천국이 따로 없다는 생각이 들 정도의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자연에서의 하루를 즐기다 보면 우리를 괴롭히는 불청객이 있다. 바로 하루살이나 나방, 지네, 개미와 벌 등이다. 이 벌레들이 야외 활동하거나 숲속에서 잠을 자는 도중에 귀에 들어가면?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도, 비일비재하게 일어나는 이 일이 막상 일어났을 때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면봉이나 족집게 등으로 꺼내려 하면 안 돼! 먼저, 곤충학자들은 벌레가 사람의 귀에 들어가는 이유를 두고 다양한 주장을 내놓고 있다. 이 가운데, 사람 귓속이 안전하고 따뜻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그런데, 막상 내 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