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가 시민과 함께 만드는 정책 실현에 한발 더 다가선다. 광주광역시는 제60회 광주시민의 날을 기념해 오는 24일 시청 1층 시민숲에서 ‘2025 정책평가박람회’를 개최한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이번 박람회는 민선8기 핵심공약인 ‘시민참여형 정책평가’의 일환으로, ‘정책에 시민의 힘을 더하다’를 주제로 열린다. 행사에서는 시민들이 직접 뽑은 ‘2025년 기대되는 스타정책’ 31개가 전시된다. 전시된 정책들은 4월 진행된 시민소통 플랫폼 ‘광주온(ON)’과 시·구 공무원 설문조사를 통해 총 65개 후보 중에서 선정됐다. 이번 설문에는 시민 4924명과 공무원 1116명이 참여해 정책 선호도를 투표 방식으로 평가했다. 대표적인 스타정책 후보로는 ▲‘대자보 도시 광주 만들기’ ▲버스 무상 이용 확대를 담은 ‘광주 G-패스’ ▲광주 복합쇼핑몰 조성 ▲‘2025 광주방문의 해’ 선포 ▲통합돌봄 확대와 공공의료 강화 ▲1인 가구 맞춤형 지원정책 ‘Solo Together’ ▲광천터미널 미래형 도시공간 개발 ▲청년정책 6대 분야 업그레이드 등이 있다. 시민이 체감하는 실질적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박람회는 정책 분야별로 총 5개 존으로 구성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가 추진 중인 ‘복합쇼핑몰 상권영향평가 연구용역’ 중간보고 결과, 복합쇼핑몰 입점이 지역 상권에 미치는 효과가 예상보다 긍정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더현대 광주’를 비롯한 대규모 복합쇼핑몰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와 상생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된 이날 보고회는 광주 상권의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광주시는 14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고광완 행정부시장과 자치구 부구청장, 소상공인단체 관계자, 시민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가 맡아 광주시 상권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 상권은 현재 외부 유입이 적고, 내수형 상권으로 형성되어 있다. 2024년 기준, 광주시 내 점포 이용객의 81%는 광주시민이고, 나머지 19%는 타 지역민이지만, 복합쇼핑몰 입점으로 외부 고객 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대전, 대구 등 타 지역 복합쇼핑몰 입점 사례에서도 대부분의 업종에서 매출이 상승했으며, 외부 고객 비중이 40%에 달했다. ‘더현대 광주’를 중심으로 한 복합쇼핑몰이 광주 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반경 5㎞ 내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