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이 맛, 남도네?" 곰탕 한 숟갈에 조선간장 향이 스며들고, 낙지젓 한 점에 갯내음이 살아나는 그 순간. 전라남도가 이 맛의 감동을 세계인에게 전하겠다고 나섰다. 이름하여 ‘전남형 K-Food’ 프로젝트. 남도의 손맛, 이제는 수출을 준비한다. 전남도는 1일 도청에서 ‘전남 K-Food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본격적인 맛의 실험에 돌입했다. 현장에는 식품 전문가, 관광 관계자, 요리 연구가 등 남도의 맛을 세계로 옮길 설계자들이 모였다. 이번 용역의 핵심은 간단하다. 전남 특산물로 ‘글로벌 입맛’까지 사로잡을 레시피를 만들어내는 것. 하지만 단순한 요리 개발이 아니다. ‘멸치 육수에 깃든 어촌의 삶’, ‘갓김치에 숨은 여수의 바람’처럼 맛에 이야기를 입히고, 레시피에 지역의 정체성을 담아내는 스토리텔링 방식이 함께 이뤄진다. 요리 그 이상, 남도 문화가 담긴 식탁을 만드는 일이다. 도는 이번 용역을 통해 ▲지역 특산물 기반 전남형 레시피 개발▲전통음식의 대중화 전략▲상품화 및 국내외 판로 확대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실전 데뷔 무대도 정해졌다. 오는 10월 1일부터 26일까지 목포에서 열리는 ‘2025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뚫고 지역 중소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을 이끌어냈다. 최근, 광주시는 카자흐스탄 알마티와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수출상담회를 통해 109건의 상담을 진행하고, 977만 달러 규모의 수출 잠재력을 확인했다. 그뿐만 아니라, 11건의 양해각서(MOU)와 2건의 수출계약(152만 달러)을 체결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번 해외시장 개척은 광주를 비롯한 경상북도와 제주특별자치도 등 3개 광역지자체의 공동 협력으로 이루어졌으며, 고환율과 보호무역주의 등 급변하는 세계 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광주시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함께한 10개의 지역 중소기업들은 의료기기, 미용기기, 식품 등 다양한 품목을 앞세워 현지 바이어들과 소중한 상호 교류의 장을 만들었다. 광주에서 참가한 기업들은 카자흐스탄과 몽골을 주요 수출 대상으로 삼고, 현지 시장의 수요에 맞춘 제품을 소개했다. 카자흐스탄은 종합소비재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고, 몽골은 특히 식품 분야에서 안정적인 수출처가 될 가능성을 보였다. 특히, 광주시는 현지 물류와 유통 실태를 직접 파악하고, 현지 바이어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등 실질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