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학진흥원, '경북인의 만주망명' 110주년 기획 보도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한국국학진흥원과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은 만주망명 110주년을 맞이하여 총12회에 걸친 기획 보도를 진행하고 있다. 제8편은 1920년(경신년)에 자행된 만주 한인사회에 대한 일제의 무자비한 학살에 대한 이야기다. 3.1운동이 있고 나서 만주 서‧북간도에서는 다수의 독립군단이 조직되어 항일무장투쟁을 이끌다가 1920년 6월과 10월의 봉오동 · 청산리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게 된다. 이 승리는 만주망명 이후 약 10여 년간 만주 땅에서 일궈낸 독립운동가의 피나는 노력의 결실이었다. 하지만 전투에서 대패한 일본군은 만주 한인사회에 대한 무자비하게 보복 학살을 자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일제는 중국 마적을 매수하여 일본 공사관을 습격하도록 지시한 후 만주 독립군기지를 공격하기 위한 구실로 삼은 ‘훈춘사건’을 조작했다. 그리고는 만주 한인사회에 군대를 보내 민간인들을 무참히 학살했던 것이다. 일제는 이미 1920년 초부터 중국 동북지방의 군벌과 연합하여 유하현 삼원포의 한족회 본회의 해산 명령을 내렸고, 같은 해 5월에는 봉천‧길림성 일대의 한인들을 잔인하게 살해했다. 이때부터 1921년 초까지 벌어진 일제의 만행으로 한족회 교육회위원 추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