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이 맛, 남도네?" 곰탕 한 숟갈에 조선간장 향이 스며들고, 낙지젓 한 점에 갯내음이 살아나는 그 순간. 전라남도가 이 맛의 감동을 세계인에게 전하겠다고 나섰다. 이름하여 ‘전남형 K-Food’ 프로젝트. 남도의 손맛, 이제는 수출을 준비한다. 전남도는 1일 도청에서 ‘전남 K-Food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본격적인 맛의 실험에 돌입했다. 현장에는 식품 전문가, 관광 관계자, 요리 연구가 등 남도의 맛을 세계로 옮길 설계자들이 모였다. 이번 용역의 핵심은 간단하다. 전남 특산물로 ‘글로벌 입맛’까지 사로잡을 레시피를 만들어내는 것. 하지만 단순한 요리 개발이 아니다. ‘멸치 육수에 깃든 어촌의 삶’, ‘갓김치에 숨은 여수의 바람’처럼 맛에 이야기를 입히고, 레시피에 지역의 정체성을 담아내는 스토리텔링 방식이 함께 이뤄진다. 요리 그 이상, 남도 문화가 담긴 식탁을 만드는 일이다. 도는 이번 용역을 통해 ▲지역 특산물 기반 전남형 레시피 개발▲전통음식의 대중화 전략▲상품화 및 국내외 판로 확대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실전 데뷔 무대도 정해졌다. 오는 10월 1일부터 26일까지 목포에서 열리는 ‘2025
지이코노미 권오연 기자 | 국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 스마일게이트가 전주시 청년들의 창업을 돕기 위해 오렌지플래닛 전주센터를 운영 지원한 데 이어 청소년들이 코딩 및 AR(증강현실)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창의 역량을 키우는 데에도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기로 했다. 전주시와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이사장 권혁빈)는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한국전통문화전당 5층 미니 컨벤션홀에서 풍남중학교(교장 김진덕)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대비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2021년 전주형 퓨처랩’ 프로젝트를 운영했다. 현재 스마일게이트 판교 본사에서 5년째 운영되고 있는 퓨처랩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영국 BBC 교육재단 등 글로벌 창의 학습 기관과 협력해 청소년들이 창의성을 키우고 이를 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특히 코딩, AR과 같은 최신 테크놀로지부터 예술, 과학, 인문 등 다양한 분야 융합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 스스로 흥미와 관심사를 발견하고 미래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시와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는 지난 2년간 긴 협의를 통해 전주형 퓨처랩 추진을 협의해 왔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