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경북농업기술원 영양고추연구소에서는 자체 복원한 재래종 고추 종자를 올해 1월 10일부터 14일까지 5일간 분양한 결과, 전국 1139농가에 18.8ha를 보급했다고 밝혔다. 재래종 고추는 1970년대 까지만 해도 다양한 특성 및 형태로 많은 농가에서 재배됐지만, 수량성이 높은 시판종 고추가 보급되면서 수량성이 낮고 병에 약해 서서히 자취를 감추게 됐다. 영양고추연구소는 사라져가는 재래종 고추를 되찾기 위해 1995년부터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소비하던 재래종 고추 유전자원을 수집했다. 2004년부터 수비초 복원품종인 ‘영고 4호’등 여러 재래종을 복원했다. 복원한 재래종 고추 4품종은 매운맛과 단맛이 잘 조화된 ‘수비초(영고 4호)’, 순한맛으로 과피가 두껍고 색깔이 좋은 ‘칠성초(영고 5호)’, 매운맛이 강하고 색깔이 좋은 일시수확형인 ‘유월초(영고 10호)’와 ‘토종(영고 11호)’이다. ‘수비초(영고4호)’는 고춧가루의 색도 좋고 씹는 맛이 아삭해 일반품종보다 항산화물질(플라보노이드 및 비타민C) 함량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소비자의 관심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영양고추연구소는 지난 15년간(2008년~2022년) 재래종고추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경상북도는 19일 전국 유일의 고추 전문 연구기관인‘영양 고추연구소(이하 연구소)’설립 25주년을 맞아 연구 성과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오도창 영양군수, 장영호 영양군의장, 이종열 경북도의원, 신용섭 경북도 농업기술원장, 고추연구회 임원 등 관련 단체 대표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연구소는 고추 신품종육성, 재배기술개발, 병해충 관리, 가공 이용 등 1996년 설립 후 지금까지의 우수 연구 성과를 보고했다. 그간 연구소는 영양지역 재래종인 수비초를 복원한‘영고 4호’를 시작으로 20여 종의 품종을 육성했다. 또한, 고춧가루 표준화 방안 등 정책 제안(4건),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 수평 저항성 선발 등 논문 게재(30건), 학술발표(128건), 고추 정식기 서리피해 방지를 위한 막 덮기 부직포 재배기술 개발 및 보급 등(106건)의 주요 연구 성과를 보고하고 성과물을 전시했다. 이날 수미향, 고은빛, 고홍빛, 관상용 고추 등 자체 육성 11품종과 병 저항성 품종 25종 등 전시한 품종을 둘러보고 스마트팜 재배기술을 적용한 ‘고추 수경재배 하우스’를 관람하며 디지털 농업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시간도 가졌다. 신용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