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오명숙 기자 | “1980년 5월, 광주뿐 아니라 나주에서도 수많은 시민이 거리로 나섰다!” 5월 19일, 나주시민회관 강당은 오월의 함성으로 가득 찼다.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이란 슬로건 아래 모인 200여 명은 45년 전 그날의 뜨거웠던 순간을 다시 불러냈다. 행사는 전통 놀이패 만월의 살풀이 공연으로 시작해, 출정가의 힘찬 노랫소리가 울려 퍼졌다.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1980년 5월 거리 한복판에 와 있는 듯한 착각마저 들게 했다. 참석자들 얼굴에선 고요한 결의와 따뜻한 연대감이 동시에 느껴졌다. “광주만의 5‧18이 아니라고요? 나주도 함께했잖아요!” 5‧18민주유공자유족회 나주시지회장 양동수 씨의 이 한마디는 현장 모두의 마음을 울렸다. 윤병태 나주시장은 “우리 민주주의는 바로 이런 용기와 연대의 결과”라며 “이 정신이 끊어지지 않도록 나주가 힘쓰겠다”고 밝혔다. 기념식 내내 흐른 ‘임을 위한 행진곡’은 그 어떤 웅변보다 강렬했다. 참석자들은 목청껏 노래를 부르며, 역사를 잊지 않고 앞으로도 지켜나가겠다는 다짐을 했다. 나주 남산공원 망화루에 설치된 분향소는 5월 20일까지 운영된다. 오월 영령을 기억하는 나주 시민들의 발걸음도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18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다. 이날 강 시장은 추모탑 앞에서 헌화와 분향을 한 뒤, 참석자들과 함께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며 1980년 5월 항쟁의 희생자들을 기렸다. 기념식에는 유족과 생존자, 시민사회단체, 정부 주요 인사 등이 참석해 오월 정신의 계승을 다짐했다. 강 시장은 “오월 광주는 여전히 살아 있고, 우리는 그 정신을 오늘의 민주주의와 공동체 회복으로 이어가야 한다”며 “광주가 시대를 이끄는 도시로서 역사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은 매년 5월 18일, 1980년 광주의 민주화 항쟁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열리고 있다.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김태균 전라남도의회 의장이 5월 16일 전남도청에서 열린 ‘전남 5·18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5·18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영원한 등불이자, 우리가 반드시 계승해야 할 자랑스러운 역사”라고 강조했다. 이날 기념식은 김영록 전남도지사, 박문옥 전남도의회 운영위원장을 비롯해 도의원, 오월단체 회원, 유가족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행사는 기념공연을 시작으로 헌화, 민주유공자 인사, 추모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엄숙하게 이어졌다. 김 의장은 추념사에서 “이 땅의 민주화를 위해 희생하신 5·18 영령들 앞에 머리 숙여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며 “오랜 세월 아픔과 상처를 견뎌온 유가족 여러분께도 깊은 위로를 전한다”고 말했다. 이어 “12·3 비상계엄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에서 5·18민주화운동은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굳건한 이정표가 되어 주었다”며 “광주의 5월을 통해 우리는 폭력과 억압, 불의에 맞서는 용기를 배웠다”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또 “우리의 민주주의는 오월정신에 큰 빚을 지고 있으며, 그 거룩한 희생에 대한 책임감으로 이제는 우리가 오월정신 계승에 앞장서야 할 때”라며 “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