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무안이 멈춘 지금, 광주가 책임지겠습니다.” 강기정 광주시장이 대통령에게 직접 지역 현안을 건의하며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과 금호타이어 새 공장 건설 필요성을 다시 꺼내 들었다. 이는 개인적인 요청을 넘어, 교통 접근성과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한 것이다. 강 시장은 지난 5일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전국 안전치안점검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해 이재명 대통령에게 지역 현안과 애로사항을 직접 전달했다. 이날 그는 특히 두 가지를 강조했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의 화재 이후 새 공장 건설의 시급함, 그리고 광주공항의 국제선 임시취항이다. “공장 복구는 단기 대응일 뿐입니다. 새로 지어야 경쟁력이 살아납니다.” 강 시장은 산업은행과 정부의 본격적인 지원을 요청하며, 금호타이어의 미래와 광주의 제조업 생태계를 연결지었다. 그는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금호타이어 화재 현장을 방문한 것을 언급하며, “그때 대통령의 눈빛에 책임감이 담겨 있었다. 그 시선이 위로에 그치지 않고, 정책적인 실행력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하나, 광주공항의 국제선 임시취항 요청은 그만큼 절실했다. 강 시장은 “무안공항 재개장이 지연되며 지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에서 뿜어져 나온 검은 연기는 단지 한 공장의 화재로 끝나지 않았다. 멈춰 선 생산라인 뒤에는 2,350명의 생계가, 그리고 불안 속의 하루를 버티는 주민들이 있다. 광주광역시는 ‘복구’와 ‘회복’을 넘은 ‘고용붕괴 방지’라는 현실과 싸우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19일 시청에서 “공장 가동은 장기화될 수 있고, 그만큼 근로자들의 고용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공식 요청했고, 근로자 고용유지를 위한 직접 지원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시의 첫 대응은 신속했다. 사고 직후 재난안전문자를 7차례 발송했고, 마스크 2만8,500개를 긴급 지원했다. 대피소를 운영하고 주민 이동차량도 마련해 혼란을 최소화했다. 특히 시는 현재도 시간 단위로 대기오염을 측정 중이며, 분진 재비산을 막기 위해 주변 도로를 수시로 청소하고 있다. 광주는 이번 사안을 표면적인 화재 복구 문제가 아닌 지역 산업 기반 붕괴로 번질 수 있는 위기로 보고 있다. 특히 고용 문제는 복구보다 더 장기적인 충격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선제적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금호타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