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이수준 기자 | 전주시가 공공기관과 민간 복지기관의 복지서비스를 한눈에 보고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는 민·관이 함께 사용하는 ‘전주시 어르신 복지자원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지난 4월부터 109개 복지서비스 제공기관과 공동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기존 사회복지 서비스 시스템의 경우 민·관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서로의 자원 현황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통합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통합 시스템은 △복지서비스 내용 △자원총량 △잔여량 △기관 연락처 △서비스 제공담당자 등 각 기관에서 제공 중인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 노인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중복으로 제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도 이점이 있다.
실제로 시는 민간기관과 3개월간 시스템을 운영해 총 2만5000여 건에 달하는 서비스 연계내역을 등록했으며, 이를 통해 40여 건의 중복지원을 예방하는 성과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시는 이 시스템을 통해 민·관이 서로 소통하며 복지자원을 공유할 수 있어 통합돌봄 독자모형을 구축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춘배 전주시 통합돌봄과장은 “이번 복지자원관리시스템의 분석자료를 통해 어르신 돌봄서비스의 효율화, 안정화를 추진할 예정으로, 시스템의 고도화 작업에 나설 방침”이라며 “이와 함께 전주시 홈페이지 내에는 사회복지 시설지도를 제공하는 등 시민들이 쉽게 사회복지시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복지서비스의 접근성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