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이수준 기자 | 새만금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탄소배출 없는 청정 에너지를 생산한다는 전북도의 수소산업 육성 전략에 청신호가 커졌다.

24일 전북도는 산업부, 전북 테크노파크와 공동으로 기획한 그린수소 생산클러스터 조성사업이 기재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일궜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전북도는 기후변화 대응과 2050 탄소제로 실현을 위한 정부 정책의 당위성을 확보했다. 또, 전북이 그린수소 산업 중심지로 도약하는데 한 발 더 다가섰다.
이번 선정에 앞서 올해 2월 산업부는 전북 등 5개 광역시・도의 수소산업 클러스터 사업을 기재부에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신청했다. 하지만 기재부는 사업추진 우선순위, 지원 대상・한도 등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며 5개 사업 모두를 예타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이후 산업부는 지난 5월 5개 광역시・도에 사업비 편성 가인드라인을 제시 하는 등 보완을 요구했다. 이에 전북도는 새만금개발청, 군산시, 전북 테크노파크와 협의해 예산 등을 수정・보완했다.

전북도는 사업을 보완해 지난 6월 기재부 예타 대상 선정에 재도전했다. 기재부는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8.24.)를 거쳐 전북의 그린수소 생산클러스터를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는 전북도와 사업 참여기관의 유기적인 협력과 도내 정치권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낸 합작품이라는 평가다.
한편, 산업부는 지난 2019년 공모를 통해 그린수소 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수소산업 클러스터 예타 조사 연구 대상으로 선정(‘19.12.)했다.

전북도는 성공적인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2차례에 걸쳐 27개 기관・기업과 상호업무협약을 체결(’20.2./‘21.1.)하고 원활한 예비타당성조사 대응을 위해 경제성 분석 등 사전 예비타당성조사 용역을 실시하여 기획보고서 및 예비타당성 요구서 등을 작성했다.
전북도는 이번 예타 대상사업 선정으로 전북이 그린수소 산업 중심지로서 입지를 굳힐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새만금 권역을 그린수소 거점지역으로 조성해 수소 생산(그린수소 생산클러스터), 저장・운송(탄소복합재 수소 저장용기), 활용(수소 상용차, 연료전지, 새만금 그린산단 등)에 이르는 전북도만의 수소산업 전주기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전북도는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에 7GW 규모의 새만금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국내 최대 규모의 100MW급 수전해 설비 집적공간을 조성하여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관련 수전해 기업 집적화단지 및 기업지원을 위한 통합지원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수전해 방식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려는 기업들에게 필요한 전기 공급시설과 생산되는 수소, 산소의 저장·출하시설, 통합 관제 및 제어시설 등 공통 설비를 국비로 구축해줌으로써 초기비용이 높아 진입이 어려운 그린수소 생산 사업에 민간기업의 참여와 투자를 유인하고, 전후방 산업 육성 및 집적화 할 예정이다.
이로 인해 기업 유치 40개사(그린수소 생산기업 20, 센터입주 20), 고용유발 30,020명, 생산유발 5조7,050억원, 취업유발 34,464명 등 파급효과도 기대된다.
송하진 도지사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생태문명시대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친환경에너지인 그린수소 산업 육성이 필수적이다” 며, “향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전북이 청정에너지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