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에서 뿜어져 나온 검은 연기는 단지 한 공장의 화재로 끝나지 않았다. 멈춰 선 생산라인 뒤에는 2,350명의 생계가, 그리고 불안 속의 하루를 버티는 주민들이 있다. 광주광역시는 ‘복구’와 ‘회복’을 넘은 ‘고용붕괴 방지’라는 현실과 싸우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19일 시청에서 “공장 가동은 장기화될 수 있고, 그만큼 근로자들의 고용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공식 요청했고, 근로자 고용유지를 위한 직접 지원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시의 첫 대응은 신속했다. 사고 직후 재난안전문자를 7차례 발송했고, 마스크 2만8,500개를 긴급 지원했다. 대피소를 운영하고 주민 이동차량도 마련해 혼란을 최소화했다. 특히 시는 현재도 시간 단위로 대기오염을 측정 중이며, 분진 재비산을 막기 위해 주변 도로를 수시로 청소하고 있다. 광주는 이번 사안을 표면적인 화재 복구 문제가 아닌 지역 산업 기반 붕괴로 번질 수 있는 위기로 보고 있다. 특히 고용 문제는 복구보다 더 장기적인 충격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선제적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금호타이어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남도가 여수 석유화학업계의 고용 위기 극복을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8일 여수혁신지원센터에서 ‘여수 석유화학 고용위기 대응 협의체’가 출범하고, 노사민정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실질적 해법 마련에 착수했다. 이번 협의체는 전라남도와 도의회를 비롯해 여수고용노동지청, 여수시, 산업계, 노동계, 지원기관, 전문가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기관이 참여했다. 참여 주체는 (사)여수산단건설협의회, 여수상공회의소, 여수산단공동발전협의회, 한국노총 여수지역지부, 민주노총 여수시지부, 전국플랜트건설노조지부, 여수시 노사민정협의회,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남본부, 전남테크노파크, 전남도의회 등이다. 최근 여수국가산단 내 주요 석유화학기업들이 신규 투자와 유지보수 사업을 대폭 축소하고, 일부는 공장 가동을 중단하면서 여수지역 중소기업의 매출과 고용 여건도 크게 악화됐다. 이로 인해 지역 주민의 소비가 감소하고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포함한 지역 상권 전반에까지 위축이 번지며, 지역 경제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여수 석유화학 고용위기지역 지정 필요성에 대해 노사민정의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고용 현장의 애로사항과 해소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