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전남도가 여수 석유화학업계의 고용 위기 극복을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8일 여수혁신지원센터에서 ‘여수 석유화학 고용위기 대응 협의체’가 출범하고, 노사민정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실질적 해법 마련에 착수했다.
이번 협의체는 전라남도와 도의회를 비롯해 여수고용노동지청, 여수시, 산업계, 노동계, 지원기관, 전문가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기관이 참여했다. 참여 주체는 (사)여수산단건설협의회, 여수상공회의소, 여수산단공동발전협의회, 한국노총 여수지역지부, 민주노총 여수시지부, 전국플랜트건설노조지부, 여수시 노사민정협의회,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남본부, 전남테크노파크, 전남도의회 등이다.
최근 여수국가산단 내 주요 석유화학기업들이 신규 투자와 유지보수 사업을 대폭 축소하고, 일부는 공장 가동을 중단하면서 여수지역 중소기업의 매출과 고용 여건도 크게 악화됐다. 이로 인해 지역 주민의 소비가 감소하고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포함한 지역 상권 전반에까지 위축이 번지며, 지역 경제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여수 석유화학 고용위기지역 지정 필요성에 대해 노사민정의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고용 현장의 애로사항과 해소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졌다. 협의체는 이달 중 정부에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신청하고, 이후 예정된 현지 실사에 대비해 기관별 역할 분담과 대응 전략, 객관적인 자료 준비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전남도는 협의체 운영을 통해 고용위기 극복 시점까지 지속적인 현장 목소리를 수렴하고, 필요 시 정부에 추가 지원을 건의할 계획이다.
김준철 전라남도 일자리경제과장은 “현재 고용위기 지역 지정 추진 상황을 공유하고, 분야별 애로사항과 대응책을 함께 논의했다”며 “석유화학업계의 노사민정이 긴밀히 협력해 기업과 근로자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지원을 끌어내겠다”고 밝혔다.
협의체 고문으로 참석한 전남도의회 이광일 부의장과 주종섭 도의원은 “고용유지가 불안정한 중소 플랜트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돼야 한다”며 “정부 지원사업에서 노동계 의견이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끝까지 힘을 보태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