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지갑 없이도 버스를 탈 수 있을까?”광주광역시가 이 질문에 본격적으로 답하기 시작한 지 한 달. 현금 없는 시내버스가 빠르게 일상이 되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4월부터 전국 최초로 ‘노선별 현금 없는 버스’ 제도를 도입해 현재 36개 노선, 300대의 버스에서 현금함을 철거했다. 오는 7월까지 102개 노선 1천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 제도가 가져온 변화는 숫자만 봐도 분명하다. 올해 1월까지만 해도 1.6%였던 현금 및 계좌이체 이용률은 현재 0.5% 수준까지 떨어졌다. 도입 전 1.9%에 비하면 절반에도 못 미친다. 놀라운 건 현금함이 사라졌는데도 혼란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교통카드를 미리 준비한 시민이 많았고, 어르신이나 디지털 약자를 위한 대체 수단도 뒷받침됐다. 선불교통카드는 현재까지 135건 판매됐고, 어르신을 위한 큰 글씨 안내서와 전용 콜센터 회선도 함께 운영되고 있다. 계좌이체를 원하는 승객에게는 인적사항과 버스업체 계좌번호가 포함된 안내문이 제공된다. 운전원 입장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다. 현금 수납 업무가 사라지면서 운전 집중도가 높아졌고, 버스 내 불필요한 대화나 실랑이도 줄어들었다. 결과적으로 운행 정시성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DGB금융그룹 계열사인 DGB유페이(대표이사 김윤국)는 6일 대구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회장 정병주)를 통해 ‘DGB 트라이앵글 멘토링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다문화 및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교통카드 1천만 원을 전달했다. 교통카드는 매주 1차례씩 학습멘토로 활동 중인 대학생 멘토들에게 전달돼 아이들이 우리 사회의 건전한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DGB 트라이앵글 멘토링 사업’은 DGB사회공헌재단에서 지난 2012년부터 대구시사회복지관협회, 대구가족센터협회와 함께 운영 중인 사회공헌프로그램이다.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에게 1:1 학습 멘토링 지도뿐만 아니라 분기별 테마 문화체험, 건강검진, 임직원 멘토 용돈 지원, 생필품 지원 등을 통해 올바른 성장을 응원하고 있다. 지역과 함께하는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DGB유페이는 DGB 트라이앵글 멘토링 사업에 도움이 되고자 지난 2013년부터 총 9천만원 상당의 교통카드를 매년 전달하고 있으며, 대구지역 운송업 종사자들을 위한 후원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대중교통 이용금액을 최대 30%까지 마일리지로 환급해주는 알뜰교통카드 서비스를 오픈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