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가 주최한 ‘2025 광주식품대전’이 역대 최대인 1만8452명의 관람객을 끌어모으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행사 기간 동안 수출상담 180억원, 수출협약 8억3000만원, 국내유통 100억원, 벤처캐피털 투자상담 77억원 등 의미 있는 비즈니스 성과도 함께 거뒀다. 광주시는 지난 5월 29일부터 6월 1일까지 나흘간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지역과 함께하는 광주 식품산업의 지속가능한 도약’을 주제로 ‘광주식품대전’을 개최했다. 올해로 20회를 맞은 이 박람회는 호남권 최대 식품산업 전시회로 자리잡았다. 올해 행사에는 농수산식품, 식품기기, 가공·냉동식품, 카페&베이커리 등 300여 개 기업이 참가해 450여 개 부스를 운영했다. B2B(기업 간 거래)와 B2C(소비자 대상 거래)를 아우르는 산업 플랫폼으로, 국내외 바이어와 시민 모두에게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했다. 해외 바이어 수출상담회에서는 독일, 싱가포르, 필리핀 등 24개국에서 방문한 바이어들과 180억 원 규모의 수출 상담이 이뤄졌고, 일본과 벨라루스 기업과는 차류‧우리밀‧전통장 등 6건의 수출협약(MOU)을 체결해 총 8억3000만 원의 수출 성과를 올렸다. 국
지이코노미 한정완 기자 | 광주광역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은 지난 24일부터 25일까지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광주광역시교육청 AI·SW 체험축전’에 학생과 학부모, 교원을 포함해 3만여 명이 참여하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미래를 여는 Code, AI’를 주제로 열린 이번 축전은 AI·SW 교육 체험마당, AI·SW 골든벨, AI·SW 특강, 학생 사례발표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참가자들은 AI 자율주행차, 코딩 드론, 햄스터봇, 생성형 AI 기반 미술 활동, IoT 스마트홈 등 실생활과 밀접한 AI·SW 기술을 직접 체험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특히 103개의 체험 부스가 운영되었으며, 광주지역 초·중·고 72개 학교와 대학, 기업, 유관기관 31곳이 참여해 현장을 가득 메웠다. 학생 200여 명이 출전한 AI·SW 골든벨과 UNIST 박새롬 교수의 ‘AI가 내 정보를 보호할 수 있을까?’ 특강, 각급 학교 5팀씩 참여한 사례발표도 큰 호응을 얻었다.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학생들은 직접 개발한 ‘QR코드 입장등록 시스템’을 행사에 적용해 관람객 출입 편의성을 높였으며, 참가 학생들은 AI와 SW에 대한 흥미를 더욱 키웠다. 송정
지이코노미 한정완 기자 | 광주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은 오는 24일부터 25일까지 김대중컨벤션센터 전시관 A·B·C 홀에서 ‘2025 광주광역시교육청 AI·SW체험축전’을 연다. 광주시교육청이 주최하고 교육연구정보원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AI와 소프트웨어 교육의 대중화와 미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올해 축전은 지난해보다 행사 공간을 한 홀 더 늘리고 체험 부스도 79개에서 103개로 확대해 더 많은 학생과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체험 부스는 광주 지역 초·중·고·특수학교에서 운영하는 72개와 대학, 기업, 유관기관이 운영하는 31개로 구성됐다. 참가자들은 코딩, 로봇, 드론, 생성형 AI, 언플러그드 활동 등 다양한 체험 부스를 직접 경험할 수 있으며, 사전 예약 없이 현장 접수로 참여 가능하다. 축전 주요 프로그램에는 AI·SW 골든벨, AI·SW 특강, 학생 사례 발표가 포함된다. 24일 오후 1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25일 오전 11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AI·SW 골든벨 퀴즈 대회가 열린다. 특강은 UNIST 박새롬 교수가 맡아 ‘AI가 내 정보를 보호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AI의 학습 방식과 개인정보 보호 기술, 미래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