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가 현수막 하나로 시민들과 마음을 잇고 있다. ‘당신이 일어설 날입니다’, ‘투표가 힘입니다’, ‘한강 고맙다’ 같은 짧고 강렬한 문구들이 시 전역에 걸려 시민들의 마음속에 잔잔한 울림을 전한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감성 행정’은 정책 전달을 넘어서, 시민 개개인이 느끼는 시대의 무게와 희망을 함께 담아내는 소통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지난 1월 설 명절을 앞두고 내걸린 ‘당신이 일어설 날입니다’는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아픔 속에서 힘겨워하는 시민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건넸고,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대통령선거를 앞둔 지금, ‘투표가 힘입니다’라는 메시지는 시민들에게 민주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책임을 되새기게 한다. 지난해에는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을 기리는 문구로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전 세계에 알리고,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나누는 데 힘썼다. 올해 오월주간에는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 속 문장을 인용해 ‘당신이 나를 밝은 쪽으로, 빛이 비치는 쪽으로, 꽃이 핀 쪽으로, 끌고 가기를 바랍니다’라는 글귀를 내걸었다. 5·18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동시에 어둠을 넘어 미래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시가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맞아 특별한 방식으로 시민과 함께했다. 18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정부기념식을 서구 계수교차로에 설치된 시정홍보 LED 전광판을 통해 실시간 생중계한 것이다. 현장에 직접 참여하지 못한 시민과 방문객들도 LED 화면을 통해 기념식의 생생한 현장을 함께할 수 있었다. 5·18민주화운동이 지닌 자랑스러운 민주 정신을 널리 알리고 공유하기 위한 광주시의 세심한 배려였다. 이번 생중계는 광주시가 운영하는 3곳의 시정홍보 LED 전광판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서구 금호동 빛고을 국악전수관 교차로 풍금사거리, 빛고을대로와 무진대로가 만나는 계수교차로, 그리고 광주도시철도 농성역 시민소통공간이 그 무대였다. 광주시 관계자는 “5·18민주화운동의 의미를 시민 모두가 깊이 느끼고 기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통 채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민주주의를 지켜낸 그날의 정신이 시민들의 일상 가까이 전해지면서, 광주는 다시 한번 민주정신의 도시임을 확인했다.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광주광역시가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해 ‘2025년 지역서점 지원사업’ 공모를 진행한다. 이번 사업은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확산된 ‘책 읽기 열풍’을 지역사회로 확장하기 위한 취지다. 공모는 오는 23일까지 진행되며, 시는 지역서점 20여 곳을 선정해 서점별 특색을 살린 인문 프로그램과 독서 모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서점당 최대 500만 원의 예산이 지원되며,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지원 방식이 달라진다. 공모는 ▲인문프로그램 기획 서점 ▲독서모임 운영 서점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인문프로그램 기획 서점’은 서점 고유의 색깔을 반영해 책 중심의 강연이나 북토크, 영화·음악 등 타 장르와 협업한 프로그램을 3회 이상 운영해야 한다. 지원금은 건당 300만~500만 원으로, 신청 내용과 횟수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 ‘독서모임 운영 서점’은 서점 대표가 직접 5회차 이상의 독서모임을 기획·운영하고, 지역 작가 등 리더의 참여가 필수다. 해당 유형은 서점당 150만 원이 지원된다. 선정된 서점에는 프로그램 운영 역량 강화를 위한 컨설팅과 교육, 시민 참여 확대를 위한 홍보 프로그램도 함께 제공된다. 공모 신청은 오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