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국립대구과학관이 개최한 「제6회 전국학생과학신문공모전」에서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김경민(세종), 만성중학교 김승기(인천), 동신초등학교 허서진 학생(대구)이 각 부문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올해 공모전에는 전국에서 80개 작품이 출품됐으며 부문별로는 초등 21개 작품, 중등 34개 작품, 고등 25개 작품이 접수됐다. 이번 대회에서 참가학생들은 △바이러스 △DNA(Data, Network, AI) △한국판뉴딜 △기후·환경 △기타 자유주제로 취재하고 과학기사를 작성해 경합을 벌였다. △‘The Meta Time 메타버스와 우리사회’를 표제로 고등부 대상을 차지한 김경민 학생은 “내가 알고 있는 과학기술을 독자들에게 쉽게 설명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려웠지만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과학기술과 주제(메타버스)에 대해 더욱 깊이 탐구할 수 있었다” 라고 말했다. △중등부 대상을 차지한 김승기 학생은 ‘Green Action Now 행동하라! 미래가 바뀐다!’ 를 톱기사로 내세웠다. 김승기 학생은 “작품을 통해 우리가 지구를 위해 해야 할 이야기를 담고 싶었다” 며 “작품을 보고나서 작은 것 하나라도 지구를 위한 행동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고 소감을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국립대구과학관은 전국 초‧중‧고등학생이 손글씨로 과학신문을 만드는 「제6회 전국학생과학신문공모전」을 개최한다. 전국학생과학신문공모전은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신문 기획, 취재, 기사 작성, 편집하는 과정을 통해 과학‧인문학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모전으로 초교 4학년부터 고교 3학년까지 참가 가능하다. 이번 공모전은 초등부‧중등부‧고등부로 나누어 개인 응모 형태로 진행되며, △한국판뉴딜, △DNA(Data, Network, AI) △바이러스 △기후·환경 △기타 자유주제(재난․안전․에너지·우주·항공 등)로 지면을 꾸미면서 과학적 창의력을 표현해 볼 수 있다. 접수기간은 10월 14일까지로 1차 작품심사를 통해 부문별 각 12명(총 36명)을 선발한다. 2차 면접심사는 참가학생 간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위 3개 수상부문(대상, 최우수상, 우수상)만 현장 면접심사가 진행된다. 부문별 대상 수상자에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과 노트북이 부상으로 수여되고, 최우수상 수상자에게는 대구광역시교육감상과 태블릿 PC, 우수상 수상자에게는 스마트 워치와 함께 국립대구과학관장상이 각각 제공된다. 장려상 수상자에게는 각 부문별로 DGIST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