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케이메디허브은 2022년 상반기 학생 인턴십 프로그램을 개시했다. 케이메디허브 학생인턴십 프로그램은 지역학생들에게 실무경험·기술·업무훈련, 멘토링 등 직무체험기회를 제공하고 학생들의 취업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22년 상반기 인턴십에는 경북대학교, 영남대학교, 대구대학교 등으로부터 추천받은 학생들이 지원하였으며, 약 2.5:1의 경쟁률을 뚫은 15명의 학생들이 케이메디허브에서 일학습 기반의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일학습 제도는 고용부가 14년부터 청년취업 희망자를 위해 일터 기반 학습을 받을 수 있도록 현장훈련을 이수하는 프로그램이다.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2월 7일부터 8월말까지 약 7개월간 케이메디허브의 현업 부서에 배치되어 실무를 배우고 실습을 하게 된다. 특히, 양진영 이사장의 ‘지역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실있는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방침 아래 문제해결형 인재, 협력형 인재,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구성할 예정이다. 케이메디허브는 매년 일학습경험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지역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체험형 인턴사업을 확대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의료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대구시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소기업·소상공인의 인력난 해소와 지역 청년들의 일자리 제공을 통한 업무역량 개발 및 신규창업 발판 마련을 위해 올해 20억원의 규모의 ‘지역청년 연계 소기업·소상공인 일자리 확대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대구시는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을 통한 지역 고용회복을 위해 작년에는 총 577억원 예산을 투입, 3천4백개의 청년 일자리 창출한 바 있으며 그 연속선상에서 올해는 음식·의류·생활서비스 등 서민경제와 밀접한 업종을 신규로 포함해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 시행 예정인 ‘지역청년 연계 소기업·소상공인 일자리 확대 지원사업’은 자산형성이 가능한 일정 소득 수준의 108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소기업·소상공인이 신규 고용한 지역청년의 인건비 90%(최대 187만원)를 10개월 동안 지원하며, 직무역량 강화 등을 위한 직무교육비를 1인당 최대 50만원까지 추가 지원한다. 또한, 청년 창업을 위한 마케팅·경영 등 컨설팅, 청년 창업가 네트워킹 형성, 전담 매니저를 통한 개별 멘토링 등도 지원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오는 2월 11일(금)까지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소기업·소상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대구시가 내년도에 지역 청년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이고,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지역 기업이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신규 청년 채용지원 사업을 실시한다. ① 인문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부족한 디지털 소프트웨어 등 이공계열 전문자격과 기술 보완을 위해 ‘인문청년 기술인재 전환지원 사업’, ② 직업계고 졸업생을 대상으로 관련 전공을 살려 지역기업의 스마트팩토리 전환 지원을 돕는 ‘스마트팩토리 선도 청년 채용지원 사업’, ③ 비대면 시대에 기업의 온라인 비즈니스 기반 강화를 위한 ‘온라인 비대면 전환(O2O)기업 청년 채용지원 사업’, ④ 공공기관에 취업을 희망하는 취업준비생이 지역 공공기관에서 일 경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인턴, 내일은 정규사원’ 등 이상의 사업을 통해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대처하는 지역기업의 디지털 경쟁력을 높이고,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는 스펙과 경력 형성을 지원하며, 지역기업의 고용부담을 덜어 지역청년이 취업에 한 발자국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인문청년 기술인재 전환지원 사업’은 비공학계열 출신 미취업 청년에게 지역 벤처기업의 일자리와 IT 관련 일 경험을 하게 하는 사업으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대구시가 내년도에 지역 청년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이고,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지역 기업이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신규 청년 채용지원 사업을 실시한다. ① 인문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부족한 디지털 소프트웨어 등 이공계열 전문자격과 기술 보완을 위해 ‘인문청년 기술인재 전환지원 사업’, ② 직업계고 졸업생을 대상으로 관련 전공을 살려 지역기업의 스마트팩토리 전환 지원을 돕는 ‘스마트팩토리 선도 청년 채용지원 사업’, ③ 비대면 시대에 기업의 온라인 비즈니스 기반 강화를 위한 ‘온라인 비대면 전환(O2O)기업 청년 채용지원 사업’, ④ 공공기관에 취업을 희망하는 취업준비생이 지역 공공기관에서 일 경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인턴, 내일은 정규사원’ 등 이상의 사업을 통해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대처하는 지역기업의 디지털 경쟁력을 높이고,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는 스펙과 경력 형성을 지원하며, 지역기업의 고용부담을 덜어 지역청년이 취업에 한 발자국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인문청년 기술인재 전환지원 사업’은 비공학계열 출신 미취업 청년에게 지역 벤처기업의 일자리와 IT 관련 일 경험을 하게 하는 사업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