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음석창 기자 | 곡성군과 전라남도교육청이 손을 맞잡고, 전라남도 지역의 영양·식생활 교육을 혁신할 새로운 거점인 (가칭)전남 K-푸드교육센터의 건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교육 공간을 넘어, 미래의 ‘영쉐프’들을 양성하고, 지역 경제와 문화를 활성화할 중요한 프로젝트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8년 개관을 목표로, 전남 K-푸드교육센터는 곡성군 삼기면 괴소리 일원에 약 5,000평 규모로 신축될 예정이다. 이 센터는 단순히 요리 교육에 그치지 않는다. 영양과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학생들에게 요리경연대회를 제공하며, 학교급식 관계자들을 위한 조리 실습 및 연수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또한 급식 메뉴 개발과 학교급식 정책 연구를 통해 지역 내 급식의 질적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센터는 K-푸드의 세계적 인기를 반영하여, 학생들에게 올바른 식습관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전라남도 지역의 식생활 교육을 선도하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맡게 된다. 곡성군은 이 사업을 통해 지역의 경제와 문화를 한 단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맞이했다. 센터가 신축되는 삼기면은 곡성군 내에서도 특히 발전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지이코노미 김대현 기자 | 전라남도 나주시가 미래세대에 건강한 먹거리 제공을 위해 내년부터 ‘Non-GMO 유채유’를 학교급식에 공급한다. 나주시는 28일 유채 생산자단체인 알곡영농조합법인(대표 최정웅), 가공업체인 ㈜땅끝두레(대표 윤영석)와 “학교급식 Non-GMO 유채유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각 기관은 협약을 통해 내년부터 Non-GMO 유채유의 학교급식 공급과 농가 계약재배를 통한 소득보장 등 지속가능한 유채유 공급체계(생산-가공-유통)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결합시켜 새로운 특성의 품종을 개발하는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GMO농산물로는 콩(대두유), 옥수수, 사탕무 등이 있다. 이와 반대인 NON-GMO는 유전자조작 농산물을 사용하지 않는 즉 비유전자변형 농산물을 일컫는다. 시는 GMO 비중이 높은 대두유 대신 Non-GMO 유채유를 대체품으로 육성하고자 올해 유채 생력화를 위한 기반시설과 수매비를 지원했다. 계약재배를 통해 생산된 31.6톤의 유채를 유채유로 가공해 관내 어린이집을 비롯한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