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시 “한국의 허리띠 –끈과 띠-” 개최
지이코노미 홍종락 기자 | 국립대구박물관은 오는 23일부터 내년 3월 27일(일)까지 허리띠로 복식문화를 살펴보는 특별전 〈한국의 허리띠 –끈과 띠-〉를 개최한다. 전시는 한국의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허리띠를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자리이다. 허리띠가 우리 복식과 삶에서 지닌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살펴본다. 1994년 국립대구박물관이 개관 후 처음으로 국보인 경주 천마총의 금관과 금허리띠, 서봉총의 금관(보물)과 금 허리띠를 전시한다. 경산 신대리 호랑이 모양 띠걸이, 안동 태사묘 여지무늬 허리띠, 김해 대성동출토 중국 진(晉)나라식 허리띠, 전(傳) 김육의 서대 등 우리 역사 속에서 중요한 허리띠 자료 600여 점을 한자리에 모아 공개한다. 특히 전시를 위해서 문헌기록과 실물자료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왕이 구장복(九章服)을 입고 옥대를 찬 모습을 추정 복원해 전시했다. 전시는 ▲제1부 왕의 허리띠 ▲제2부 허리띠란 무엇인가? ▲제3부 허리띠 이야기 ▲제4부 끈과 띠의 나라, 조선으로 총 4부로 구성했다. 먼저 ▲제1부 ‘왕의 허리띠’는 시대를 대표하는 기술과 진귀한 재료로 만들어진 왕의 허리띠를 살펴봤다. 금으로 만든 신라 마립간 허리띠부터 조선 왕의 옥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