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장마가 시작되기도 전, 나주시가 도심 곳곳에 쌓인 방치폐기물 수거에 팔을 걷어붙였다. 나주시는 지난 4월 말부터 5월 중순까지 읍면동 전역을 샅샅이 훑었다. 그 결과, 무려 91개 지점에서 990톤에 달하는 방치폐기물이 확인됐다. 주택가 주변, 빈 공터, 도로변에까지 흩어진 폐기물들은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장마철 집중호우로 인한 2차 피해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시는 우선 300톤을 1차로 수거하기로 결정했다. 처리 예산으로는 1억 원이 책정됐고, 전문 폐기물처리업체를 선정해 경쟁입찰 방식으로 위탁 정비가 이뤄진다. 6월 중 계약을 마치고, 본격적인 수거 작업은 6~7월 집중적으로 진행된다. 관건은 ‘속도’다. 장마철 이전에 최대한 정비를 마무리해야 하기에 도시미화과는 일정 조율과 업체 선정 과정도 빠르게 진행 중이다. 수거 대상지는 차량 진입 가능 여부, 폐기물의 종류와 양 등을 고려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있다. 나주시 관계자는 “한 해를 통틀어 가장 많은 비가 쏟아지는 시기를 앞두고 시민 생활공간을 깨끗이 비워내는 것이 목표”라며 “이번 정비가 끝난 뒤에도 남은 방치폐기물 600여 톤에 대한 후속 계획도 검토하고 있
지이코노미 김정훈 기자 | 고흥에 쏟아진 기록적인 폭우가 해창만 간척지를 덮쳤다. 지난 15일부터 시작된 비는 포두면과 풍양면에 집중됐고, 특히 포두면 해창만 간척지 약 100헥타르가 물에 잠기며 농작물과 땅이 큰 피해를 입었다. 상황을 주시하던 공영민 고흥군수는 비가 그치자마자 바로 현장으로 달려갔다. “복구는 속도전이다”라며 2차 피해 차단과 신속한 응급복구를 직접 지휘했다. 고흥군은 폭우가 내리기 전부터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리고 비상근무 체제로 전환, 혹시 모를 피해에 대비해 총력을 다해왔다. 하지만 자연의 힘은 예상보다 거셌다. 공 군수는 “이번 집중호우는 우리에게 큰 경고였다”며 “피해 상황을 철저히 점검하고,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복구 작업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민 불편을 줄이기 위한 복구 속도는 초미의 관심사다. 고흥군 관계자도 “군민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일상을 되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 피해를 신속히 복구하겠다”고 강조했다. 폭우가 남긴 상처는 크지만, 고흥군의 신속한 대응과 공영민 군수의 현장 중심 행정은 피해 복구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