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이수준 기자 | 전주시는 오는 30일까지 지역 내 3만9000여 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2020년 기준 경제총조사’를 실시한다.
통계청 주관으로 시행되는 이번 경제총조사는 5년마다 실시하는 국가 지정통계로, 대한민국 전체 산업의 분포와 고용구조, 경영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정부의 경제·산업 정책 및 중소기업 지원정책, 지방자치단체의 지역경제정책, 기업경영 계획 수립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조사대상은 국방·국가 기밀기관, 국제기구, 외국공관, 개인 농림어업 등을 제외한 3만 9000여 개 사업체로, 올해에는 물리적 장소가 없는 소규모 사업체도 포함해 통계의 정확성을 높이기로 했다.
조사항목은 사업체명, 소재지, 사업자등록번호 등 공통 13개 문항과 재고액, 연간 생산량, 사업체 건물 연면적, 일일 평균 영업시간 등 특성항목 24개 문항을 포함해 총 37개로 구성됐다.
지난 2015년 기준 조사와는 달리 이번 항목에는 공통항목에 운영 장소가, 특성항목에는 무인 결제기기(키오스크) 도입 여부와 배달(택배) 판매 여부, 디지털 플랫폼 거래 여부, 편의시설 개수 등이 새롭게 추가됐다.
시는 경제총조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130명 이상의 조사요원을 채용해 방문조사를 실시한다. 조사 대상자가 비대면 조사를 원하는 경우 온라인 응답가능하다. 올해에는 규모가 작은 사업체의 경우 표본조사로 실시해 사업체들의 응답부담을 줄였다.
김봉정 전주시 신성장경제국장은 “미래 경제를 위해 현재의 경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조사대상 사업체의 정확한 응답이 필수적”이라며 “응답 내용은 통계법에 따라 철저히 비밀이 보장되는 만큼 사업체에서는 적극적으로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