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이수준 기자 | 전라북도의회 송지용 의장(완주1)은 3일 완주군 제철유적지에 대한 학술조사를 통해 고대 문화권을 재조명하고 문화콘텐츠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송 의장은 이날 전북도 국철인 문화유산과장과 노기환 학예연구관, 황재남 안남사진갤러리 관장, 정주하 구재마을 이장, 손안나 작가 등과 함께 제련시설 추정터 및 다량의 슬러그 더미가 확인된 완주군 경천면 신흥계곡 제철 유적지를 직접 방문해 이같이 주장했다.
현재 완주지역은 신흥계곡을 비롯한 시우동 제철지 등 36개소가 있으며, 특히 신흥계곡은 접근성이 좋고 유적 상태가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보존돼 있다.
또한 대단위의 제철 유적으로 숙소, 철광석 채취 흔적, 제련유적, 가마터, 슬러지 등이 잘 보존된 것으로 추정돼 고대로부터 완주지역이 최신의 기술력으로 철 생산 지역의 역할을 해 왔음을 짐작할 수 있고 문화재지정도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의 진단이다. 이를 위해 기초조사와 발굴작업, 학계의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송지용 의장은 “완주 신흥계곡 제철지에 대한 학술조사와 기초발굴작업을 토대로 제철지 주변의 봉수와 산성, 화암사, 옛길, 신흥천 발원지 대지샘 등 역사 문화자원을 엮는 큰 그림을 그려보겠다”라며 “향후 이 현장이 훼손되지 않게 잘 보존하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용역 등 후속 조치를 통해 완주군 문화콘텐츠로 새롭게 조명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탄소 산업과 문화벨트는 완주와 전라북도를 견인할 커다른 수레의 두 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