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이코노미 이수준 기자 | 배달 오토바이가 눈에 띄게 늘면서 이로 인한 대기환경오염 및 소음공해도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라북도의회 최영규 의원(익산 4)이 전라북도의 적극적 대응을 요구하고 나섰다.
최의원은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전체 도로이동오염원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중 일산화탄소 약 31%, 탄화수소 약 23%를 내연기관식 오토바이가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상당히 많은 양의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배출량도 소형 승용차보다 2배 가까이 높아 대기환경오염의 주범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소음 역시 105dB 수준으로 지하철 80dB, 열차 100dB과 비교해 오히려 높은 수치”라며 우리가 간과하고 있지만 내연기관식 오토바이가 우리의 도시환경 및 일상생활에 심각한 피해와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재의 내연기관식 오토바이로 인한 환경피해를 제로로 만들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전기 오토바이의 보급을 확대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내에서 운행되고 있는 등록 오토바이는 대부분 내연기관식으로 올 8월 말 기준 총 10만 900대정도다. 그러나 이중 전기 오토바이는 전체의 1.2%인 1,169대에 불과한 실정이다.
최의원은 “도내 14개 시‧군 절반 이상이 도 평균 보급률(1.2%)에도 미치지 못했으며, 군산시는 2.3%, 257대를 보급했지만 장수군의 경우 0.2%, 단 4대에 불과해 시‧군별 보급률이 많게는 11배까지 차이가 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최의원은 “내연기관식 오토바이 1만 대를 전기 오토바이로 전환하면 2만 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효과가 있다고 한다. 소음도 거의 제로에 가까워 대기오염과 소음으로부터 도시환경을 쾌적하게 바꿀 수가 있다. 전라북도는 환경부에서 주관하고 있는 전기이륜차 보급사업에 전북 14개 시‧군이 골고루 참여할 수 있도록 전북도가 지방비 일부를 도비로 지원하고, 충전시설 확충 및 대형 배달업체의 시범사업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도 전역에 전기 오토바이를 확대 보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요청했다.
전기이륜차 보급 지원사업은 국비 50%, 시․군비 50%로 차종에 따라 한 대당 150~300만 원까지 보조금을 지급하며, 일반형 경형·소형 이륜차의 경우 내연기관 이륜차 폐지 후 구매 시 최대지원액 범위 내에서 민간 20만원을 추가로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