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코노미 이대희 기자 | 최근에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배드민턴과 골프, 테니스 등 다양한 운동들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갑작스럽게 진행되는 무리한 운동은 부상을 불러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위와 같은 운동들의 경우 팔근육과 함께 관절에도 부담을 줄 수 있어 팔꿈치에 욱신거리는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오랜만에 운동이기에 당연한 통증이라 생각하여 찜질을 진행하고 안정을 취하는 등 대처를 해보지만 만약 통증이 사라지지 않고 지속된다면 테니스엘보를 의심해보아야 한다.
해당 질환은 손과 팔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손목부터 팔꿈치까지 이어지는 힘줄에 염증이 생기고 일부 조직이 파열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을 보인다. 대개 충분한 준비 운동을 하지 않고 무리한 운동을 하는 경우 이처럼 관절이나 힘줄 등에 스포츠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테니스를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주로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지만 실제로 집안일이나 팔을 무리하게 사용하는 업무를 할 때에도 발견되는 질환이다. 초기에는 욱신거리는 팔꿈치 통증이 나타나며, 팔을 살짝 비틀 거나 물건을 들어 올리는 등의 동작 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때 적절한 대처를 진행하지 못하고 방치하는 경우 팔 전체로 퍼지면서 손목까지 이어지는 방사통을 겪을 수 있다.
이처럼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하면서 악화되면 만성화 될 수 있기에 초기에 증상을 인지하고 적절한 대처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테니스엘보 치료의 경우 초기에는 충분한 안정과 약물,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등의 일반적인 치료로도 완화될 수 있다. 물론 개개인마다 통증과 손상의 정도가 다르기에 먼저 충분한 검사와 정확한 진단을 진행한 후 그에 따른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현대에는 사무직부터 주부, 택배 업무 등 손목과 팔꿈치를 자주 사용하는 업무가 증가하고 있기에 관절 환자들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평소 틈틈이 스트레칭을 진행해주는 것이 예방에 도움 될 수 있으며, 가능한 무리가 가는 행동들은 자제하고 통증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움말 : 성남 으뜸병원 김덕수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