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 말살 안 된다”… 봉화·태백 주민들,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 반대 집회

“50년 터전 빼앗는 이전…지역 공동체 붕괴 불가피”
환경 개선 외면한 정치적 결정…주민 의견 배제 비판
공동투쟁위 결성, 결의문 전달…“생존권 지키기 끝까지 투쟁”

지이코노미 유주언 기자 |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 논의가 본격화되자 경북 봉화와 강원 태백 주민들이 거리로 나섰다. 주민들은 “제련소 이전은 곧 지역 공동체 해체”라며 결사반대를 선언하고 공동투쟁위원회를 꾸려 정부를 향한 본격적인 대응에 들어갔다.

 

25일 오후 봉화군 석포면 만촌슈퍼 앞 도로. 수백 명의 주민들이 모여 ‘석포제련소 이전 반대’를 외쳤다. 이날 집회에는 석포면 현안대책위, 태백시 현안대책위, 봉화군 협의회 등이 함께하며 ‘봉화·태백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를 결성했다. 참가자들은 “제련소는 지난 50여 년간 지역 주민들의 생계를 지탱해 온 터전”이라며 “이전은 명백한 폐쇄와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환경 문제를 명분으로 한 이전 주장에 대해서도 주민들은 반박했다. “무방류 시스템, 대기·수질 개선 설비 등 이미 수십 차례 환경 투자가 진행돼 왔다”며 “지금의 이전 논의는 과학적 근거가 아닌 정치적 목적에 따른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정부와 지자체가 주민 의견을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논의를 추진한다고 비판했다.

 

공동투쟁위는 중앙정부에 이전 반대 결의문을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박재한 공동투쟁위 위원장은 “제련소 사수는 곧 지역을 지키는 일”이라며 “주민들의 분노와 절규를 끝까지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임광길 석포면 현안대책위 위원장은 “아이들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 논란은 단순한 공장 이전 문제가 아니다. 소멸 위기에 놓인 농산촌 지역의 생존권과 직결된 사안이다.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가 향후 갈등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